김영환 충북도지사가 9일 김포시 서울 편입 논란과 관련, “우리(충북)가 반대할 이유도 없고 충분히 논의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찬성 입장을 피력했다. 불과 하루 만에 자신의 입장을 번복한 것이다.
김 지사는 9일 도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수도권 내 인구이동이기 때문에 반대하고 싶지 않다”며 “서울 메가시티는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베드타운의 성격을 갖는 도시들은 서울 메가시티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고 그런 이해와 요구에 대해서는 존중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 지사는 “김포가 서울로 가느냐 안 가느냐 하는 문제는 김포 시민들과 서울시, 경기도가 논의할 문제”이라며 “그거를 우리(충북)가 반대하고 왈가불가할 문제는 아니다”고 전했다.
이어 “충청권 메가시티나 부울경 메가시티 논의는 지역균형 발전과 관련된 것”이라면서 “김포 서울 편입은 수도권 내에서의 이동이라서 같은 차원에서 반대하는 것은 안 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전날 자신의 페이스 북에선 메가시티 서울 구상론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올렸다.
김 지사는 “(메가시티 서울은)본질에서 크게 벗어난 현실 인식”이라며 “수도권 인구를 지방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선결 과제이다”고 글을 올렸다.
그는 “지방분권의 핵심은 수도권 인구를 지방으로 어떻게 리쇼어링 하느냐는 문제이다”며 “이를 놔두고 김포·고양·구리·하남을 서울에 붙이느냐, 경기도에 두느냐 하는 문제는 부차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인구 2500만명 중 우선 강원, 충남·북, 영호남에 200만명씩 총 600만명을 지방으로 분산시키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지사는 메가시티 서울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김태흠 충남지사 등과 13일 세종 지방자치회관에서 만나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전날 서울에서 열린 한 강연에서 “수도권에 편중된 인구·산업을 지방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충청권, 부울경, 대구·경북, 호남 메가시티 청사진 제시가 먼저”라며 “자치분권, 균형발전과 같은 지방시대 구현을 위해 행정·교육·재정 권한 이양 및 수도권 대기업·대학 이전 등 청사진 제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