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에서 ‘대한민국 차세대 철강산업 지도를 그리다’를 주제로 8일부터 9일까지 ‘2023 철강대개조 심포지엄’이 열린다.
이번 심포지엄은 포항시와 경북도가 주최하고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포스텍, 대한금속·재료학회가 주관한다.
8일 포스코국제관에서 열린 개막식에는 산·학·연·관 전문가와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해 철강산업 발전을 위한 강연 및 토론을 진행했다.
이날 정인호 서울대학교 교수는 ‘탄소중립을 위한 철강산업 변화와 기술개발 방향’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에서 기후 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시대에 철강산업의 역할 및 미래 방향성을 제시했다.
김영주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상무이사는 ‘글로벌 철강산업의 환경변화와 대응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철강산업 탄소중립 대응 방안 수립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며 차세대 철강산업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9일에는 철강 부산물의 리사이클링 활용 방안 및 초대형 금속분말 활용과 기술개발 동향을 주제로 초청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다. 연계행사로 철강산업재도약 기술개발사업 운영지원단의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도 마련된다.
포항시는 2021년 철강산업 재도약 기술개발사업 운영지원단 유치와 포항철강거점센터 건립을 통해 우리나라 철강산업의 재도약 핵심거점으로 거듭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앞으로 총사업비 1354억원을 들여 2025년까지 철강제품 고부가가치화 기술개발, 친환경 자원순환 기술개발, 산업공유자산 구축 등을 추진한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우리나라 제1의 철강도시로서 철강산업 고도화를 통한 미래경쟁력 확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