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이 메가시티 정책을 당론으로 내놓은 가운데 대구에서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서울 거대화가 지방분권에 역행하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지방분권운동대구경북본부, 대구YMCA, 대구사회연구소,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대구지부 등은 8일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초거대 도시 만들기 중단을 요구했다.
국민의힘은 최근 김포 서울 편입 등이 담긴 메가시티 서울 계획을 발표했다. 또 여기에 더해 서울과 부산, 광주 3축 메가시티, 대전과 대구를 잇는 초광역 메가시티 등 메가시티 논의 범위를 확대했다.
대구 시민단체들은 서울·수도권과 비수도권이 이미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초거대 도시 서울 구상을 발표한 것은 지방시대를 열겠다는 집권여당이 넘지 말아야할 선을 넘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더 커진)서울은 더 강화된 구심력으로 인근 인천과 경기지역 인구까지 흡입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충청권과 영남권, 호남권에도 더 강력한 흡입력을 발휘할 것”이라며 “2000만 초메가시티 서울공화국이 현실화되면 소멸위기에 처한 서울 이외의 지역은 존립 자체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지금 정치권이 최우선으로 해야 할 일은 서울·수도권과 비수도권간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고 평평하게 하는 것”이라며 “전면적인 분권자치제도를 도입해 서울·수도권의 인구 집중과 비수도권의 청년 유출을 막으면 지역소멸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메가시티 서울에 반대 의견을 내고 있다. 홍 시장은 자신의 SNS에 “뜬금없이 서울 메가시티론을 들고 나와 수도권 집중을 더욱 심화시키는 김포 서울 편입을 밀어붙이고 있는데 지방화 시대에 역행하는 반시대적 발상이 아닐 수 없다”고 밝혔다.
지역 메가시티론도 대구에서 공감을 얻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와 경북의 경우 2020년부터 행정통합, 메가시티 등을 추진했다가 사실상 사업 추진이 중단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여당의 지역 메가시티론이 지역에서 다시 논의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