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1주기 시민추모대회’에 참석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7000명이 모이는데 경호도 거의 불가능할뿐더러 (행사에 참여한) 구성원들이 거의 정권퇴진 운동을 하는 단체들이 많았다”고 답했다.
김 실장은 7일 국회 운영위원회가 대통령실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실장은 ‘윤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 유가족을 만나 사과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더불어민주당 이용빈 의원의 지적에 “(윤 대통령이) 진정성 있는 사과를 4번 했다. 그것보다 어떻게 더 사과하고, 그것보다 더 애도를 표할 수 있겠느냐”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또 박상혁 민주당 의원이 “윤석열정부는 ‘검찰 카르텔’ 정부”라고 비판하자 “전체적으로 보면 공공기관에서 검찰 출신 인력은 1%도 안 된다”고 반박했다.
김 실장은 그러면서 “공공기관 임원 중에 검사나 검찰직 출신을 보니 34명인데, 그중 현 정부에서 임명한 사람은 18명이고 나머지는 지난 정부에서 임명한 사람들이 아직 남아 있는 것”이라며 “문재인 정부와 같다”고 주장했다.
김 실장은 윤석열정부의 건전재정 기조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김 실장은 “사실 돈을 풀어서 국민들에게 나눠주고, 일자리도 재정을 풀어서 만들고 하면 얼마나 좋겠나. 선거에 도움도 되고”라며 “그런데 빚이 너무 많다. 지금 우리가 이렇게 돈을 풀면 이 돈은 MZ세대가 다 갚아야 한다”고 말했다.
난데 없는 ‘간첩’ 논란도 빚어졌다. 김병주 민주당 의원은 미국 정보기관의 대통령실 도·감청 의혹과 관련해 시민단체로부터 고발당한 주한미국 대사와 주한미군 사령관에 대한 경찰의 불송치 결정문을 언급하면서 ‘간첩’ 발언을 했다.
김 의원은 “사실 도청이 아니라 사람에 의해 흘러갔다면 더 큰 문제다. 국가의 주요 정책이 사람에 의해 다른 나라에 갔다면 이것이 간첩”이라며 “간첩 색출 작전을 해야 할 것 같다. 여기 앉아 계시는 분 중에 간첩이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발끈했다. 김성원 의원은 “심각한 표현으로 선을 넘지 않았나”고 비판했다.
정우진 박성영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