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 확산 방지를 위해 꾸려진 정부 합동대책본부가 7일부터 전국 차원의 빈대 발생 현황을 파악해 대처하기로 했다.
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빈대 정부합동대책본부는 이날 전국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전국 기초 지자체에 접수된 빈대 의심신고 건수 및 사실 여부, 대처 상황 등을 시설별·단계별·지역별로 파악해보고 보고해달라는 지침을 전달했다.
대책본부는 지자체별로 상황이 취합되는 7일부터 빈대 확산 방지를 위한 현황판을 만들어 활용할 계획이다.
최근 프랑스 등 해외 여러 나라에서 빈대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빈대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인천의 한 사우나에서 빈대가 출몰했고, 고시원이나 대학교 기숙사 등에서도 빈대가 발견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빈대 공포’가 커지자 예산 5억원을 투입해 쪽방촌, 고시원 등 위생취약 시설의 빈대 예방과 방제 조치를 강화한다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빈대 신고 건수도 지난달부터 크게 늘어나는 상황이다. 지난 5일 기준 서울시 각 구청과 보건소에 접수된 빈대 발견·의심 신고 건수만 17건에 달한다. 2014년부터 약 10년간 질병관리청에 접수된 빈대 관련 신고가 9건에 불과하다는 점에 비춰보면 최근 빈대 신고가 급증한 것이다.
대책본부 지침에 따라 7일부터 전국 지자체 현황이 집계되면 전체 빈대 신고 건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대책본부는 전국 단위 현황판을 만들어 대응하되, 특정 시설에서 빈대가 출현 사실이 공개될 경우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장소 공개 여부는 신중히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