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여가부, 20·30대 호감도 올리는데 4억6500만원 쓴다

입력 2023-11-01 14:47 수정 2023-11-01 15:35

여성가족부가 언론·여론 이슈 분석, 정책 호감도 제고 등을 위한 예산으로 4억여원을 책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여가부에 부정적인 반응을 띄는 것으로 알려진 20·30대 등 ‘MZ세대’를 타깃으로 정책홍보 활동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일 국민일보가 입수한 ‘2024년 여성가족부 정책홍보 위탁사업’ 계획안에 따르면 여가부는 2024년 정책홍보 예산으로 4억6500만원을 책정했다.

여가부가 밝힌 주요 홍보 방향은 ‘정책 인지도 및 호감도 제고’다. 특히 젊은 세대 반감을 의식한 듯 2030세대를 겨냥한 정책홍보 활동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여가부에 대한 반감이 고조돼 급기야 ‘부처 폐지론’이 대통령 당선 공약으로까지 제시되자 위기를 느낀 여가부가 호감도 제고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여가부는 특히 세간의 인식처럼 ‘여성만을 위한 부처’라는 오해를 애써 벗으려는 모양새다. 여가부는 “가족지원 서비스, 아이돌봄, 위기청소년, 폭력 피해자 지원, 여성 경제활동 지원 등 부처의 역할과 가치를 부각할 수 있는 정책을 중점적으로 홍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성 관련 정책은 여가부 기능 가운데 일부일 뿐, 본질적으로는 가족과 청소년, 폭력 피해자 등을 위한 지원책을 폭넓게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론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는 이슈 분석에도 인력을 투입한다. 여가부는 월 1회 언론 및 여론 이슈 분석을 통해 대응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여가부의 이 같은 노력은 예산이 줄줄이 삭감되고 부처 폐지론까지 현실화되는 것에 대한 반응으로 풀이된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여가부에서 제출받은 ‘2024년 예산 사업 설명자료’에 따르면 내년도 여가부 예산 가운데 청소년활동예산(38억2000만원)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34억원) 성인권교육예산(5억6000만원) 청소년 근로권익 예산(12억7000만원) 등이 줄줄이 전액 삭감되며 다수 정책이 폐지 수순에 들어섰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여가부 폐지’ 실현이 가능해질 시기도 점점 다가오고 있다. 만약 다음해 4월로 예정된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승리해 여대야소 지형이 형성될 경우 법안 개정을 통해 여가부를 폐지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다.

여가부 관계자는 “20·30세대는 어느 부처에 있어서든 정책홍보에 있어 주요한 목표”라며 “통상적으로 유사한 홍보활동을 진행해왔다. 올해 특별한 의미를 담아 타깃을 설정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