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관석 “돈봉투, 보관만” vs 이정근 “비겁해”

입력 2023-10-31 06:27 수정 2023-10-31 10:17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살포’ 사건의 핵심 인물인 무소속 윤관석 의원과 민주당 이정근 전 사무부총장. 연합뉴스

2021년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사건의 책임을 두고 무소속 윤관석 의원과 민주당 이정근 전 사무부총장, 강래구 전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이 법정에서 ‘네 탓 공방’을 벌였다. 윤 의원이 돈봉투에 대해 “보관만 했다”는 취지로 주장하자 이씨는 “비겁하다”고 반박했다. 이씨와 강씨는 서로를 향해 조직 관리 ‘총괄’이었다고 지목하기도 했다.

윤 의원 변호인은 30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2부(김정곤 김미경 허경무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재판에서 “돈봉투를 보관만 했다”며 돈봉투 살포를 주도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이 돈봉투 살포의 주도적 역할을 한 게 아니라 단지 전달만 했다는 취지의 주장이다.

재판부는 “어차피 국회의원들에게 갈 돈이었는데 보관 주체만 바뀌었다는 것”이라고 변호인의 주장을 정리했다.

하지만 이씨는 윤 의원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며 이 같은 주장을 반박했다.

이씨는 “강래구(전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에게 듣기에 윤 의원이 다른 의원들에게 돈을 주자고 하니 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윤 의원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의원을 향해 “좀 비겁한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기도 했다.

윤 의원은 이날 법정에서 돈봉투의 성격이 ‘감시 표시’라는 점을 강조했다. ‘매표’ 행위는 아니었다는 취지다.

윤 의원은 돈봉투가 의원들에게 배포된 시점인 2021년 4월 28∼29일에 대해 “(경선) 막바지 시점”이라며 “이미 지지를 표명한 사람들이 많아서 ‘오더’(지역 대의원들에게 송영길 전 대표를 찍어달라고 하는 요청)가 필요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의원들이 100만원이나 300만원을 주면 오더를 바꾸겠나”라고도 강조했다.

그러자 검찰은 윤 의원이 돈봉투 살포 이후인 2021년 4월 29일 민주당 의원들에게 보낸 카카오톡 메시지를 공개하며 반박했다.

검찰이 공개한 당시 카톡에서 윤 의원은 ‘리드하고 있으나 (경쟁 후보가) 턱밑까지 쫓아왔다는 보고가 있으니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달라. 조직 독려를 한 번 더 해달라’고 요구했다. 윤 의원의 주장대로 단지 ‘감사 표시’에 그치지 않는다는 게 검찰의 주장이다.

또 이날 법정에서는 강씨와 이씨가 서로를 향해 송영길 캠프의 조직 관리 ‘총괄’이었다고 지목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강씨는 “나는 캠프에 거의 가지도 않았다”며 자신을 캠프의 ‘배후 조직 총괄’로 지목한 이씨의 주장을 반박했다.

이에 이씨는 “선거 후 내가 사무부총장 직책을 맡으니 ‘감사를 그만두고 사무를 맡아야겠다’며 (당직을 넘긴다고) 윤 의원에게 말을 해달라고 하지 않았느냐”며 “무슨 당이 나눠 먹는 초콜릿도 아니고 이게 본인이 총괄이 아니라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또 이씨는 경선 과정에서 지역본부장·상황실장들에게 금품을 제공한 것에 대해 “강래구가 이런 시스템을 만든 것”이라며 “누구에게 돈을 받아 누구에게 주자는 것은 강래구의 제안”이라고 강조했다.

돈봉투 사건과 관련해 주 1회씩 2번 증인 신문을 마친 이씨는 “저의 발언이 동지들에게는 아픈 비수가 될 수 있어 마음이 아프다”며 “아바타든 바지사장이든 강권에 의해서든 제가 맡은 경선 직책은 조직본부장이니 이에 맞는 책임을 달게 받겠다”고 말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