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산지역 주요 제조 기업들이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을 벗어나면서 재무지표가 대체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업 안정성과 경영 효율성 부분에서는 여전히 불안한 모습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상공회의소는 30일 주요 제조기업 747개사의 재무자료를 토대로 성장성·수익성·안정성·활동성 4개 부문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 주요 제조업들의 매출액과 총자산, 영업이익 증가율을 분석지표로 한 성장성에서는 전체 매출(17.5%), 총자산(7.7%), 영업이익(51.9%) 증가율이 모두 2021년에 비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 상장 기업의 전체 매출 증가율(12.1%)보다도 높았다.
수익성 부분도 대체로 양호했다.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 영업이익률(5.5%)과 매출액 당기 순이익률(4.2%)은 전년 대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증가하면서 각각 1.2%P, 0.3%P 늘었다. 기업이 낸 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이자 보상 배율도 5.1배에 달해 적정 수준인 3배를 웃돌았다.
금리 인상 여파로 이자 비용 증가율이 2021년 대비 39.9%나 증가해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 증가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것으로 분석됐다.
안정성 지표인 총부채 증가율은 팬데믹 이후 경영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발생한 운전자금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6.7% 늘어났지만, 전국 상장기업(10.4%)에 비해서는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자기자본비율(53.7%), 부채비율(86.3%), 차입금 의존도(28.0%) 등 기업 안정성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에서 전국 상장기업의 평균보다 안정성이 떨어졌다.
기업 활동성을 보여주는 재고자산 회전율(6.4회), 재고 자산 비중(14.8%), 총자산 회전율(0.95회) 등의 재무지표들은 대체로 2021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팬데믹 마무리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지역 제조업 활동성이 크게 개선되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통상적으로 재고자산과 총자산이 매출로 전환되는 속도를 의미하는 재고자산회전율과 총자산회전율이 높을수록 해당 기업의 경영 효율성을 높게 평가한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