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30일 “대통령실의 현장 방문을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시스템으로 정착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도 지금보다 더 민생 현장을 파고들 것이고, 대통령실에서 직접 청취한 현장의 절규를 신속하게 해결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지난주 중동순방 기간 이뤄진 대통령실 참모진의 민생현장 방문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지난주 대통령실에서는 비서실장, 수석, 비서관, 행정관들이 소상공인 일터와 복지행정 현장 등 36곳의 다양한 민생 현장을 찾아 국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들을 생생하게 듣고 왔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대출 원리금 상환에 힘들어하는 소상공인과 외국인 노동자 인건비 상승을 걱정하는 자영업자들의 목소리를 전한 뒤 “정부 각 부처의 장관, 차관, 청장, 실국장 등 고위직은 앞으로 민생 현장, 행정 현장을 직접 찾아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탁상정책이 아닌 살아있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또 “지금 당장 눈앞에서 도움을 기다리는 국민의 외침, 현장의 절규에 신속하게 응답하는 것보다 더 우선적인 일은 없다”며 “대통령실과 총리실이 각 부처의 민생 현장 직접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는지 늘 관심을 갖고 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정부가 지난 27일 발표한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과 관련해 “숫자가 없는 맹탕이라거나 선거를 앞둔 몸 사리기라고 비판하는 의견도 있다”며 “그러나 연금개혁은 뒷받침할 근거나 사회적 합의 없이 숫자만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 낼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지난 정부는 연금 개혁에 대한 확고한 의지 없이 4개 대안을 제출해 갈등만 초래했다”고 지적하며 “우리 정부는 이런 사례를 반복하지 않고, 제대로 된 연금개혁을 이뤄내기 위해 착실히 준비해 왔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지금까지 충실히 준비한 방대한 데이터를 종합운영계획과 함께 국회에 제출한다”며 “정부는 국회의 개혁방안 마련 과정과 공론화 추진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전세사기 처벌을 강화하기 위한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개정과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징벌적 손해배상을 강화하는 상생협력법 개정의 조속한 처리도 국회에 당부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 21~26일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 국빈방문 성과와 관련해 “저와 동행한 130여명의 경제사절단은 사우디와 카타르에서 총 202억불 규모, 63개의 MOU(양해각서)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이런 대규모 수출과 수주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와 민생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