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버스 89% 멈춰서나…파업 예고 속 최종 조정나서

입력 2023-10-25 17:48

경기도 전체 버스 1만648대의 89%인 9516대의 파업 여부가 판가름나는 최종 조정회의가 시작됐다.

경기도 내 52개 버스 업체 노조가 소속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와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25일 오후 4시부터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막판 줄달리기에 나섰다.

조정이 결렬되면 협의회는 오는 26일 오전 4시쯤 첫차 운행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으로, 파업 여부는 이날 늦은 오후나 자정 이후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협의회는 “경기도 버스 기사의 임금이 서울과 인천에 비해 월 50만원 이상 낮아 인력누출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경기도가 지난해 김동연 지사가 약속한 대로 일반 시내버스 대상의 준공영제인 ‘공공관리제’를 임기 내에 시행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사측인 운송조합도 “이용객 감소 등 운영 악화로 임금체계 개선을 위해선 경기도의 운영비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예산 문제로 김 지사 임기 내인 2026년까지는 공공관리제 전면 도입이 어렵다. 2027년까지는 반드시 약속을 이행하겠다”며 노사 간 합의를 유도하고 있다.

협의회는 이날 자정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파업에 돌입한다며 강경한 입장이다.

경기도는 협의회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시·군별 버스 이용 수요가 많은 주요 지역과 지하철역을 탑승 거점으로 지정하고 전세 및 관용 버스 425대를 투입해 거점 간 순환 운행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마을버스 운행 시간도 연장하고 예비 차량을 파업 노선에 투입할 방침이다. 개인·일반 택시 운행을 독려해 버스정류장 주변에 집중적으로 배차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밖에도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gbis.go.kr), 정류소 안내문 등을 통해 파업 상황을 신속히 전파, 대체 운송수단을 이용하도록 홍보를 병행할 예정이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