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와 식당 등에서 쓰였던 방역 플라스틱 가림막이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 후 재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부터 지난달까지 수거된 플라스틱 폐가림막은 총 1185.5t에 달했다.
환경부는 코로나19 방역용 플라스틱 폐가림막 발생량을 약 1만t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폐가림막 수거율은 약 12%에 그치는 수준이다.
가림막은 아크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 다양한 원료로 제작된다. 이러한 가림막이 단일 재질이 아닌 다른 플라스틱과 섞여 회수되다 보니 현실적으로 재활용 과정에서 분류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가림막 중 80%가 재활용에 용이한 아크릴로 만들어졌음에도 제대로 분류되지 못해 그대로 버려지는 것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플라스틱 1t을 소각하면 온실가스가 2.79t 발생하지만, 재활용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은 0.53t으로 줄어든다.
우 의원은 “코로나19 완화로 플라스틱 폐가림막을 비롯한 각종 방역물품 처리 문제가 커지고 있다”며 “특히 아크릴은 활용도가 높은데도 선별이 어렵다는 이유로 소각돼 자원 낭비와 환경파괴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환경공단은 지자체에서 공단으로 수거된 폐가림막을 한국플라스틱단일재질협회로 보내 대부분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로 수거되지 않은 폐가림막은 분류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환경공단 측은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폐가림막 자체가 여러 소재로 제작되다 보니 단일 재질로만 회수하기가 힘든 상황”이라며 “특히 아크릴은 재질 상 파쇄기를 고장 내기 때문에 파쇄를 통한 재활용도 어려워 그대로 재활용하는 게 아니라면 어쩔 수 없이 소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단 측에서는 최대한 많은 납품을 했던 학교와 관공서 수거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5월부터 지자체를 통해서 수거 요청을 받고 있지만 신고가 저조한 상황”이라고 했다.
임소윤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