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지자체 외국인 근로자 모시기 경쟁

입력 2023-10-25 13:26

충북 지자체가 만성적인 인력난을 겪고 있는 농가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유치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음성군은 25일부터 27일까지 2박3일 일정으로 몽골을 방문해 성긴하르항청과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한다. 증평군도 29일 캄보디아를 방문해 증평인삼 해외시장 개척 등과 함께 계절근로자 도입 문제를 협의한다.

괴산군 역시 지난해 10월 필리핀을 방문해 카비테주 제너럴 마리아노 알바레즈(GMA)시와 계절근로자 교류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제천시는 지난 2월 필리핀을, 보은군과 영동군은각각 지난해 11월과 올해 8월 베트남을 방문했다.

충북은 올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2520명이 입국해 농가에서 일손을 도왔다.

도 관계자는 25일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만성적인 인력난을 겪고 있는 농촌지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며 “지자체마다 한 명이라도 더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모시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파종기와 수확기 등 단기간 발생하는 농촌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최대 8개월간 외국인을 고용할 수 있는 제도다. 2015년 전국에서 최초로 충북 괴산군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이후 이 제도는 전국으로 확산됐다.

지자체는 수요조사를 거쳐 법무부에 외국인 계절근로자 유치계획서를 제출해 인원 배정을 신청한다. 출입국관리사무소가 이들 시·군을 조사한 뒤 법무부 배정심사협의회 심의를 거쳐 인원을 배정한다. 사증 발급 등 절차를 거쳐 외국인 계절근로자가 입국하면 농가 현장에 배치된다.

올해는 공공형 계절근로사업을 충북에서 괴산군과 보은군이 처음으로 도입했다. 이 사업은 지자체가 농협에 사전 인력을 요청한 농가에 저렴한 임금으로 인력을 공급하면 농가는 농협에 임금을 지급한다. 단기간 일손이 필요하고 숙소 제공이 어려운 소규모 농가에 저렴한 임금으로 인력을 지원해 농가의 부담을 덜어준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