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체 버스 89% 파업 여부 놓고 25일 막판 협상

입력 2023-10-25 08:54

경기도 전체 버스 1만648대의 89%인 9516대의 파업 여부를 놓고 경기도내 52개 버스 업체 노조가 소속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와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이 25일 오후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막판 헙상을 벌인다.

협의회는 그동안 민영제 운수종사자의 실질 임금 인상 등을 회사 측에 요구했으나 회사 측은 재정 여건상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이날 협상이 결렬될 경우 26일 오전 4시 첫차 운행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파업 여부는 이날 늦은 오후나 자정 이후에 결정될 전망이다.

이에 경기도는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조정 시한 만료 전까지 노사 대표를 설득하는 등 합의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버스 노사가 합의를 못하고 평행선을 달리는 데는 경기도의 버스준공영제 전면 도입 시기 연기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측은 협의회가 요구하는 임금 인상과 근무조건 개선을 위해선 준공영제 도입을 통한 경기도의 운영비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노조 요구를 수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지난 8월 예산 부족을 이유로 일반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한 준공영제 도입 시기를 2027년까지로 미룬다고 발표한 바 있다.

파업 때에는 시·군 및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 유관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도를 중심으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한다.

또 시·군별 버스 이용 수요가 많은 주요 지역과 지하철역을 탑승 거점으로 지정하고 전세 및 관용 버스 425대를 투입해 거점 간 순환 운행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마을버스 운행 시간도 연장하고 예비 차량을 파업 노선에 투입할 방침이다. 개인·일반 택시 운행을 독려해 버스정류장 주변에 집중 배차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밖에도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gbis.go.kr), 정류소 안내문 등을 통해 파업 상황을 신속히 전파해 대체 운송수단을 이용하도록 홍보를 병행할 예정이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