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 아들은 왜 안 와!”…이스라엘 예비군들 화났다

입력 2023-10-25 00:04 수정 2023-10-25 00:04
베냐민 네타냐후(오른쪽) 이스라엘 총리와 그의 아들 야이르 네타냐후. AP 뉴시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의 전쟁에 참전한 이스라엘 예비군들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의 장남이 미국에 머물면서 고국으로 돌아오지 않자 규탄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더타임스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자국을 공격한 하마스를 상대로 전쟁을 선언하면서 현역 17만명에 예비군 30만명을 소집하고 전 세계 예비군들에게 총동원령을 내렸다. 이에 수백명의 이스라엘인들이 참전을 위해 고국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올해 초 미국 플로리다로 떠난 네타냐후 총리의 장남 야이르 네타냐후는 아직 미국에 머무르고 있다. 그는 32세로, 예비군 복무 대상이다.

한 이스라엘 군인은 “내가 최전방에 있는 동안 야이르는 마이애미 비치에서 인생을 즐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스라엘 군인들이 24일(현지시간) 이스라엘 북부의 레바논 국경 인근에서 훈련에 참가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와의 교전이 격화하고 있는 이스라엘 북부 전선의 한 예비군은 야이르가 참전하지 않은 것이 분노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고국의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일터와 가족을 떠나는 이들은 이러한 상황에 책임이 있는 이들이 아니라 우리”라면서 “우리의 형제와 아버지, 아들들은 모두 최전방으로 가고 있는데 야이르는 아직 여기 없다. 이는 이 나라의 리더십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한 예비군은 “나는 내 일과 삶, 가족이 있는 미국에서 고국으로 돌아왔다”면서 “이처럼 중대한 시기에 그곳에 머무르면서 내 조국과 우리나라 사람들을 버려서는 안 된다. 총리의 아들은 어디 있는가? 그는 왜 이스라엘에 없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스라엘 군인들이 23일(현지시간) 레바논 국경 근처 북부 도시 키랴트 슈모나에서 경고 사이렌을 듣고 대피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야이르는 전투병으로 복무한 적은 없으며 이스라엘군(IDF) 대변인실에서 일하며 군 의무 복무를 마쳤다.

야이르는 최근 이스라엘 내부적으로 수십만명이 참여한 격렬한 시위와 야권의 반발을 불러온 네타냐후 정부의 사법개혁 정국에서 소셜미디어 활동으로 논란이 된 뒤 미국으로 떠났다. 그는 시위대를 “테러리스트”라고 부르면서 미국이 이 같은 사태에 자금을 댔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더타임스는 복무를 위해 고국으로 돌아온 이들 모두가 최전선으로 가는 것은 아니며, 예비군들과 마찬가지로 다수가 IDF나 비정부기구 활동을 자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야이르는 현재 인스타그램을 통해 전쟁 피해자와 12만명의 이스라엘 피란민 지원을 위한 비정부기구의 활동을 알리고 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