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에 이어 미국의 햄버거 업체 버거킹이 이스라엘 지부에서 자국군에게 음식을 무상제공한다고 발표했다가 아랍권 소비자들로부터 불매 운동 역풍을 맞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불매 대상 기업 목록을 SNS에 올리며 불매 운동을 확산해 나가고 있다.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버거킹 이스라엘 지부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기습 공격 이후인 지난 11일 공식 인스타그램에 이스라엘 군인들에게 음식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사진을 올렸다고 23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게시글에서 버거킹 이스라엘 지부는 “우리는 이스라엘을 더 강한 나라로 만들기 위해 갔다. 버거킹은 희생자들의 가족에게 조의를 표한다”며 사진과 함께 적었다.
게시글이 올라오자 아랍권의 엑스(X·트위터) 등 SNS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버거킹을 불매해야 한다는 주장이 퍼지고 있다. 이와 함께 특정 기업들의 목록을 올리며 불매 운동을 주장하는 이른바 ‘좌표 찍기’ 행태도 나타났다.
반(反)이스라엘 국제운동인 ‘BDS’(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정책에 반대하는 불매·투자철회·제재) 위원회는 이날 자신들의 엑스 계정에 버거킹을 비롯한 이스라엘 지지 의사를 밝힌 회사들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BDS는 “맥도날드, 도미노, 피자헛을 포함해 다른 지점들도 집단학살을 저지르는 이스라엘군에 기부를 했다”며 불매 운동 돌입을 독려했다.
다른 게시글에서는 “이 회사들은 해외에 있는 지점 대부분이 해당 지역 사업자들의 소유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그와 관계없이 이 회사들에 대한 불매 운동과 투자 철회를 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일부 엑스 사용자들 역시 “‘테러 국가’ 이스라엘을 지원하는 회사의 제품들을 불매 운동하자”며 버거킹을 포함한 불매 대상이 된 기업들의 목록을 게시했다.
앞서 맥도날드 이스라엘 지부도 이스라엘군에 무료로 음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가 이집트 등 아랍권 국가를 중심으로 불매 운동이 확산됐다. 이에 쿠웨이트, 이집트, 요르단 등 다른 중동 국가에 있는 맥도날드 가맹점들은 “이스라엘 지부가 한 일은 사적인 행위”라는 내용의 성명을 내며 선긋기에 나섰다.
최승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