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The 경기패스는 경기도 특색에 맞는 교통카드를 만든 것”이라며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와 비교해 만든 것이 아니라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김 지사는 지난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와 The 경기패스의 차별성과 경쟁력에 대해 설명해달라”는 질문에 “(서울시)기후동행카드는 한 달에 44번 이상 사용해야 혜택이 있으나 경기패스는 21회만 사용해도 혜택이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전 연령층, 모든 교통수단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범위하고 혜택도 더 크다”면서 “(정부의)K패스를 통한 재원이 있고 거기에 경기도가 추가해 확대하는 부분이 있는데 내년 예산안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정의당 심상정 의원의 “지자체의 대중교통지원사업이 급조된 것은 아닌지 안타까운 마음”이라는 지적에는 “The 경기패스는 급조된 정책이 아니다. 기후동행카드와 관계없이 추진한 것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270만명 경기도민 중 절반가량인 130만명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The 경기패스는 불가피하게 정부의 K패스를 기본 틀로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국토위 경기도 국감에서는 지난 17일 행정안전위원회 경기도 국감때 발표된 경기도의 The 경기패스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국민의힘 엄태영 의원은 “수도권 대중교통 요금 지원대책으로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고 있어 수도권 주민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며 “국토부의 K패스 사업과 연계돼 예산 중복도 있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앞서 김 지사는 17일 행안위 국감 때 경기도민이면 전국 어디에서나 모든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사용한 교통비의 일부를 환급해주는 The 경기패스를 내년 7월부터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