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통’ 이재용, 협력사 경영진 초청… ‘한·일 민간가교’ LJF 30돌

입력 2023-10-22 14:00 수정 2023-10-22 14:00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당시 부회장)이 2019년 7월 12일 일본 출장을 마치고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일본 부품·소재 협력사 8곳의 핵심 경영진을 삼성 ‘영빈관’으로 불리는 승지원으로 초청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1일 이 회장이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승지원에서 삼성의 일본 내 협력사 모임인 ‘LJF(Lee Kunhee Japanese Friends)’ 정례 교류회를 주재했다고 22일 밝혔다. 회장 취임 이후 처음이다. 특히 삼성이 승지원에서 이들을 맞은 것은 17년 만이다. 양국 간 갈등 해소 국면에서 일본 부품·소재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올해로 발족 30주년을 맞은 LJF는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 제안으로 1993년 출범했다. 코로나19 사태로 휴회한 2020년을 제외하고 매년 모임을 가졌다. 2019년에 와병 중이던 이 선대회장을 대신해 이 회장(당시 부회장)이 교류회를 주재한 적이 있다.

올해 LJF 교류회에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노태문 MX사업부장, 김우준 네트워크사업부장, 박용인 시스템LSI 사업부장,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최윤호 삼성SDI 사장, 고정석 삼성물산 사장 등이 배석했다. 일본에선 TDK, 무라타 제작소, 알프스알파인 등의 전자 부품·소재 기업이 참석했다. 이 회장은 환영사에서 “삼성과 일본 업계가 미래 산업을 선도하고 더 큰 번영을 누리기 위해 ‘천릿길을 함께 가는 소중한 벗’ 같은 신뢰·협력 관계를 앞으로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의 ‘일본 네트워크’는 3대를 거치면서 깊이와 폭을 더했다. 이건희 선대회장은 이병철 창업회장 타계 직후인 1987년 당시 대학생이던 이 회장을 대동하고 히타치, 마쯔시타, 소니, 도시바 등의 일본 주요 고객사를 방문하기도 했다.

이 회장은 매년 봄에 주요 고객사를 초청해 신춘 인사회를 여는 등의 ‘경제 가교’ ‘민간 가교’ 역할을 잊지 않았다. 재계 관계자는 “몇 년 전 수출 규제로 한·일 관계가 최악으로 치달았을 때, 일본 측에서 삼성을 찾아와 정치 상황은 어쩔 수 없지만 민간 차원에서 교류의 끈을 놓지 말아 달라고 낮은 자세를 보이기도 했다”고 후일담을 전했다.

실제 이 회장은 한·일 양국의 경제협력 복원에 기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7월 일본 최대 경제단체인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 고위 임원진을 승지원에서 대접하고 히타치그룹 회장과 잇따라 회동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월 17일 대통령으로서는 14년 만에 처음으로 한·일 경제인 행사에 참석하며 양국 화합 분위기를 끌어내는 데 단초가 됐다. 또한 한·일 무역 분쟁이 올해 종결하기까지 이 회장은 수차례 비공식적으로 일본을 찾아 정·재계와 소통을 이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김혜원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