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대원들이 이스라엘에 침투할 당시 ‘전투 마약’으로 불리는 캡타곤을 복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스라엘 현지 방송 ‘채널 12’는 19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에 붙잡힌 하마스 포로들에게서 캡타곤의 흔적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이 방송은 “전투 후 시신으로 수습된 하마스 대원들의 주머니에서도 캡타곤 알약이 발견됐다”고 전했다.
지난 7일 이스라엘을 기습한 하마스 대원들은 민간인을 살해하고 납치하며 잔혹한 영상 등을 공개하기도 했는데, 당시 이들이 약물에 취한 상태였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캡타곤은 암페타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약으로, 이슬람국가(IS) 조직원들이 전투나 살상 행위를 하면서 복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IS 마약’ 또는 ‘지하드(이슬람 성전) 마약’으로도 불린다.
주로 시리아와 레바논에서 생산되는 이 마약은 제조 비용이 저렴해 ‘가난한 사람들의 코카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캡타곤을 투약하면 며칠 잠을 자지 않아도 피곤함을 느끼지 못하고, 스스로 무적이라고 생각하며 두려움을 떨쳐내기 쉬워진다.
전쟁에서 약물이 사용된 경우는 역사 속에서도 확인된다. 나치 독일은 2차 대전 당시 육·해·공군 할 것 없이 병사들에게 강력한 효과를 가진 마약 페르비틴을 배급했다. 독일의 시사주간지 스피겔에 따르면 1940년 4∼7월 독일군에 지급된 페르비틴은 3500만 정에 이른다.
2차 대전 당시 일본군도 메스암페타민을 복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도 1975년에 끝난 베트남 전쟁 때는 병사의 35%가 암페타민 및 기타 약물에 중독됐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