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다음달 총파업 돌입을 선언한 데 대해 ‘MZ노조’로 불리는 올바른노동조합은 “명분 없는 파업”이라고 비판했다.
송시영 올바른노조 위원장은 1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금 서울교통공사가 처한 (경영 악화 등) 문제를 만든 게 바로 기존의 양대 노조인데, 이들이 파업을 주장할 명분이 있는 것이냐”며 파업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했다. 앞서 민주노총·한국노총으로 구성된 서울교통공사노조 연합교섭단은 다음 달 9일부터 파업을 결정했다. 이들은 이날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인력감축과 외주화를 중단하고 최소한의 안전 인력인 771명을 올해 채용하지 않는다면 파업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합교섭단은 민주노총 산하 서울교통공사노조와 한국노총 산하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로 구성돼 있다. 제3노조인 올바른노조는 비교섭단체로, 연합교섭단에 속하지 않는다. 연합교섭단은 공사 측의 인력감축안을 문제 삼고 있다. 공사 측은 대규모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2026년까지 2211명을 감축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공사 전체 정원의 약 13.5%에 달한다.
올바른노조 측은 기존의 노조가 서울교통공사 적자 문제를 심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송 위원장은 “2018년 기존 협력·계약 업체 소속이던 1285명을 공사 소속 정규직 신분으로 전환을 하면서 공사 재정이 악화됐다”며 “당시 정규직 전환을 주도했던 게 민주노총”이라고 날을 세웠다.
일부 노조 간부들이 출근하지 않고 월급을 받아가는 등 근로시간면제 제도를 악용한 부분도 파업 명분을 약화시키는 이유로 짚었다. 근로시간면제는 노조의 조합 활동을 근무시간으로 인정해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서울교통공사의 경우 지난해 기준 법령상 파트타임 면제자일 경우 32명까지 근로시간면제자를 둘 수 있다. 그러나 서울시 감사위원회가 지난 12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교통공사의 파트타임 면제자는 311명이었다. 법령상 가능한 인원보다 279명이나 많은 인원이 추가로 근로시간면제를 사용한 것이다.
송 위원장은 “최근 근로시간면제 제도를 악용해 무단결근을 했던 노조 간부 4명이 직위해제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력감축안과 관련해서도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렬들에 대해서 인력감축을 하는 것은 조직 효율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했다. 다만 “신규 채용 인력을 줄이는 것은 반대한다”고 말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