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인 것으로 18일 나타났다. 남성 비만율이 여성보다 두 배가량 높았다.
특히 30대 남성 비만율은 51.4%로, 두 명 중 한 명은 비만인 셈이다.
1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23만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 국내 성인 비만율은 32.5%였다. 이는 2021년보다 0.3%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비만율은 체중(㎏)을 신장(m)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단위 ㎏/㎡)가 25 이상인 사람 분율로, 과체중·비만·고도비만을 모두 포함한다.
비만율은 계속해서 증가하다가 2018년 31.8%에서 2020년 31.3%로 다소 낮아졌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신체활동이 줄어들면서 2021년부터 다시 올랐다.
연령대별 비만율은 30대가 35.8%로 가장 높았다. 40대 34.1%, 50대 31.5%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40.2%로 여성(22.1%)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남성 비만율은 20대에서 38.8%였다가, 30대에 51.4%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30대 남성 두 명 중 한 명은 비만이라는 것이다.
20대와 비교해 운동 등 신체활동을 덜 하는 데다가 직장 생활로 장시간 앉아 있거나 술을 마시는 일이 잦아든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남성 비만율은 40대 48.1%, 50대 40.1%, 60대 33.0%, 70대 27.9%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점차 줄어들었다.
반면 여성 비만율은 20대 15.5%, 30대 19.0%, 40대 19.7%, 50대 22.7%, 60대 27.6%, 70대 30.6%를 기록했다. 남성과 달리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비만율도 높아지는 것이다.
시도별 비만율은 제주도가 36.5%로 가장 높았고, 세종이 27.7%로 가장 낮았다. 제주도는 2021년에도 비만율 36.0%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비만율이 개선된 곳은 인천과 대전, 대구, 광주 4곳이었다. 인천은 1.9%P 하락해 32.6%를 기록했다.
질병청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심층 연구를 진행해 비만율 상승 원인 등을 파악할 계획이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