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전임교원 1명당 학생 수가 2명을 채 넘지 않는 1.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분야의 전문대학원과 비교했을 때 현저하게 낮은 수치인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의원(국민의힘)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의과대학 재직 전임 교원은 1만1502명, 학생 수는 1만8348명이었다. 전임교원 한 사람이 담당해야 할 학생 수는 평균 1.6명 수준인 셈이다.
이 의원은 “교원 대비 학생 비율만 놓고 보면 개인과외 수준”이라며 “의대 내 교육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라도 의대 정원 확대를 통해 학생 수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인제대, 을지대, 차의과대, 가톨릭대, 성균관대, 울산대 등은 전임교원 한 사람이 담당하는 학생 수가 유독 적었다. 이 중 인제대와 가톨릭대를 제외하고는 입학정원이 40명 이하인 ‘미니의대’였다.
울산대 의대는 학생수가 240명인데 전임교원이 650명이나 됐다. 전임교원이 학생 수보다 2배 이상 많은 셈이다.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과 비교해도 의대의 전임교원당 학생 수 비율은 특히 낮았다. 로스쿨은 전문대학원임에도 불구하고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가 평균 7.6명으로 의대보다 4배 이상 많았다.
이 의원은 “의대 교원은 최소 10년 이상 훈련을 거쳐 양성된 교육 자원”이라며 “필수 의료 위기 등으로 의사 인력 양성이 중요한 시점이므로 의대 내 교육자원이 더 많은 후학을 양성하고 이를 통해 국민의 의료접근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