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발표가 임박하자 도내 국립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에서 국립의대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전남 지역구의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17일 성명을 내고 의사 정원 확대와 함께 전남권의 국립의대 신설을 정부에 촉구했다. 김승남 김원이 김회재 등 민주당 의원 10명은 “의대 정원 확대는 의대가 없는 지역인 전남권 의대 신설과 지역의사제 도입을 반드시 병행해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에 따르면, 전남 지역 의사 수는 인구 1000명당 1.7명이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3.7명, 대한민국 평균 2.5명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중증응급환자 전원율도 전국 평균은 4.7%인 반면 전남은 9.7%로 2배 이상이다. 노동자 1만명 당 산재 사고사망자 수도 전국 평균의 1.6배에 달한다. 그러나 전남 지역 안에 의사 정원을 늘릴 국립 의과대학이 없다는 것이다.
전남 지역 정치권도 적극적으로 의대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날 도청 기자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의대 정원을 증원하겠다는 것은 세부적으로 의대 신설도 포괄하는 걸로 볼 수 있다”며 “전남에 국립 의과대학이 신설되도록 지역사회와 총력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의회 의원들은 오는 18일 국회와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전남도 의과대학 유치를 위한 기자회견과 집회’를 예고했다. 한 도의원은 “정부가 의과대학 신설보다 기존 의대 정원 증원 쪽으로 정책 변화가 감지된다”며 “이를 규탄하고 전남도의 의지를 전하기 위해 대규모 상경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 소재 목포시와 목포대학교도 대정부 공동건의문을 냈다. 목포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은 의료환경이 열악하고 의료인프라도 부족하다”며 “목포 등 전남 서남권은 전국 유인도서의 44%를 점하고 있는 의료 불모지로 지난 30여년 간 꾸준히 국립의대 설립을 요구해 왔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여당은 현재 의료서비스 현황과 미래 수요 예측을 바탕으로 의대 정원을 확대하는 내용의 정책 변화를 예고했다. 야당은 의대 정원 확대에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공공의대 설치와 지역 의사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