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기를 실은 것으로 보이는 러시아 선박이 지난 8월부터 최소 5차례 두 나라를 왕복한 장면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백악관이 확인한 북·러 간 무기거래 시점보다 최소 한 달이 앞선 시기다.
WP는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의 위성사진 분석 자료를 인용해 러시아 국기를 단 화물선 앙가라호와 마리아호가 8월 중순부터 지난 14일까지 북한 북동쪽 나진항과 러시아 극동 지역 두나이의 보안항구를 최소 5차례 왕복했다고 전했다. 두 선박은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끄고 이동해 추적을 피했다고 WP는 덧붙였다.
두 선박에 실린 컨테이너의 내용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RUSI 관계자와 미국 관리들은 이들 선박이 군사 장비를 수송한 것으로 보고 있다. WP는 “북한은 구소련 시대 사용된 122㎜ 다연장 로켓인 ‘그라드(grad)’와 122㎜ 곡사포탄을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잭 와틀링 RUSI 선임연구원은 “북한은 많은 탄약을 제조할 능력이 있고 상당한 비축량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방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화물 수송이 시작될 무렵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약 290㎞ 떨어진 러시아 서남부 티호레츠크 소재 탄약 창고의 저장용 구덩이가 빠르게 확장되는 모습도 위성사진에 포착됐다. 확장된 구덩이는 최근 몇 주 동안 기차로 운송된 탄약 상자로 가득 채워졌는데, 그 옆에는 나진에서 두나이로 옮겨진 컨테이너와 색깔과 크기가 똑같은 컨테이너들이 발견됐다.
이는 백악관이 밝힌 것보다 더 앞선 시기에 북·러 간 무기거래가 진행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존 커비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지난 13일 브리핑에서 “지난달 7일부터 지난 1일까지 러시아 국적 선박 앙가라호를 이용해 북한이 군사장비, 탄약 등을 컨테이너 1000개 이상 제공했다”고 밝혔다.
두 선박이 이동한 8월 중순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9월 13일)이 이뤄지기 약 한 달 전이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