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강화, 높아진 자금 문턱…부산 제조기업 곳곳 자금난

입력 2023-10-11 15:07

날로 늘어나는 원가와 금융비용으로 부산지역 제조업들이 자금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대출 심사 강화로 금융권의 문턱이 높아지고, 까다로워진 지원 요건으로 정책자금 조달마저 더뎌지면서 기업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상공회의소 기업동향분석센터가 11일 공개한 ‘부산 제조기업의 자금조달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기업 중 지난해보다 자금 사정이 좋아졌다고 응답한 비율은 9.6%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는 부산지역 매출액 상위 600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해 251개 기업이 조사에 참여했다.

조사 기업 10곳 중 7곳(68.5%)은 전년 대비 자금 사정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오히려 악화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21.9%로 나타나 지역 제조업 자금 사정이 올해 들어 더욱 악화한 것으로 보인다.

자금 조달을 위한 금융환경도 지난해보다 나빠졌다. 조사 기업 중 76.9%가 금융 환경이 개선되지 않았다고 응답했으며, 17.5%는 오히려 악화했다고 응답했다.

악화 요인으로는 대출금리 인상(39.4%)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대출한도 하향 조정(18.2%), 대출 심사 강화(15.2%), 보증 한도 축소(12.1%) 등의 순이었다.

2022년 대비 올해 제조기업들의 자금사정 현황. 부산상공회의소 제공

필요 자금을 조달하는 데 있어 정책자금의 역할은 기대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처별 외부자금 조달 비중을 확인한 결과, 전체의 92.5%는 은행권에서 조달했고 정책자금을 통한 조달 비중은 6.2%에 불과했다. 또 71.3%는 정부나 부산시를 비롯한 지원기관의 정책자금을 이용한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기업들이 정책자금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보면 실효성이 낮고(48.4%) 지원 요건이 미달하며(18.9%) 이용 절차가 복잡하다(10.7%) 등이 언급됐다.

이는 정책자금 다수가 복잡한 이용 절차에 비해 자금의 규모 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지고 정작 자금이 필요한 기업은 요건 미달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금융권은 대출의 문턱을 낮추고 정부는 정책자금 수혈이 필요한 기업들에 적정한 규모로 적기에 지원될 수 있도록 불필요한 요식행위를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