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속에 역사 문화가 어울린 꿈이 있는 미래혁신도시’, 경기도 광주시 청사진이 나왔다.
경기도가 지난 10일 최종 승인한 ‘2040년 광주 도시기본계획(안)’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2040년 목표 계획인구는 각종 개발사업 등으로 유입될 인구를 고려해 52만5000명(현재 약 40만4000명)으로 설정했다.
광주시 전체 행정구역(43만990㎢) 가운데 도시발전에 대비한 개발 가용지 1만2543㎢는 시가화예정용지로 계획하고 시가화된 기존 개발지 2만4502㎢는 시가화용지, 나머지 39만3945㎢는 보전용지로 토지이용계획을 확정했다.
공간구조는 도심기능의 확산을 통한 균형발전 도모, 친환경 도시공간 구축 등 대·내외적 여건 변화와 주변 지역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해 1도심(경안) 3부도심(삼동, 오포, 곤지암) 4지역중심(신현, 초월, 도척, 퇴촌)으로 설정했다.
도시발전 축은 광주시의 개발추세, 토지이용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해 도심, 부도심, 지역중심을 연계하고 성남, 용인, 이천으로 향하는 성장 주축과 용인, 이천, 양평으로 향하는 성장부축을 계획했다.
생활권은 경안·오포, 곤지암·초월, 남한산성·퇴촌 3개 권역으로 계획하고 역세권 주변 압축개발을 통한 주거·상업·업무 기능확충, 바이오산업 등 신성장 산업 육성, 역사·문화·관광 기능 강화 등의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기반 시설은 경강선, 수서~광주 복선전철 등 철도망 확충, 공유자전거시스템 구축, 수요응답형(DRT) 버스 도입, 지능형교통체계 구축, 철도역사 환승시설 설치 등의 계획을 반영했다.
2040년 광주 도시기본계획은 광주시의 미래와 도시의 장기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최상위 공간계획으로 지속 가능한 국토관리를 위한 정책·전략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도시발전 청사진이다.
이번에 승인된 2040년 광주 도시기본계획은 이달 중 광주시 누리집을 통해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