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단체, 화천 마지막 ‘웅담 채취용’ 사육장서 곰 구조

입력 2023-10-10 17:15
웅담 채취용 사육곰 농장에서 구조되는 반달가슴곰 '주영이'. 동물권행동 '카라' 제공.

동물보호단체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와 동물권행동 ‘카라’는 강원 화천군에서 웅담(곰 쓸개) 채취용으로 사육하던 2013년생 암컷 반달가슴곰 한 마리를 구조했다고 10일 밝혔다. 화천 지역에서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사육곰 농장이 폐쇄됨으로써 전국 사육곰 농장은 총 18개가 됐다.

농가 소유주는 환경부에서 공영 보호시설(생츄어리)을 짓는다는 소식을 접하고 마지막 남은 사육곰은 도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들 단체와 원만한 협의 과정을 거치는 등 구조에 협조했다.

이번 구조는 한 고등학교 교사가 사육곰 구조 비용과 구조 후 보호 비용까지 모두 부담하겠다며 적극적으로 요청해 이뤄졌다. 구조된 곰은 후원자의 이름을 딴 ‘주영이’라는 이름으로 군 내 동물단체 자체 보호시설에서 새 삶을 살게 된다.

웅담 채취용 사육곰 농장에서 구조되는 반달가슴곰 '주영이'. 동물권행동 '카라' 제공.

앞서 두 단체는 2021년부터 화천에서 17마리의 사육곰을 구조해 자체 보호시설에서 보호하고 있다. 단체는 기존의 농장 시설을 보호시설로 개조해 사육곰들에게 과일, 채소 등을 제공했다. 또 적응 훈련을 거쳐 흙과 바위, 나무, 인공 연못이 조성된 방사장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했다.

최인수 카라 활동가는 “지난해 정부와 사육곰 농가, 동물단체가 모여 사육곰 산업을 끝내고 남아 있는 사육곰을 보호하기로 협약했으며 이에 발맞춰 국회와 환경부에서 관련법과 보호시설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최태규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대표는 “정부의 공영 사육곰 보호시설이 완공돼도 현재 남아 있는 사육곰들의 절반가량은 여전히 갈 곳이 없고, 보호시설의 운영 주체에 따라 복지 수준도 달라질 수 있어 민간에서도 자체적으로 보호시설 건립을 추진 중”이라고 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