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급함’이 ‘편리함’으로 대체되는 챗GPT의 등장은 목회자와 성도들에게 큰 유혹이 될 수 있지만 제대로 활용하면 새로운 기독교 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김대수 카이스트 교수는 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에서 열린 ‘2023 국민미션포럼’에서 “챗GPT는 기독교 영성의 보조자로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기독교 사역과 열매들을 기록해 제공할 수 있다”며 “인공지능 시대 사람들은 챗GPT가 답하지 못하는 인생의 근본적인 문제들에 관심을 돌리게 될 것이며 교회는 이 대답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일보(사장 변재운)와 사귐과섬김(공동대표 이규현 주승중 유관재 목사)은 이날 ‘희망터치:챗GPT와 다음세대’를 주제로 국민미션포럼을 열고 빠르게 변화하는 인공지능 시대에 따뜻한 복음을 전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챗GPT시대 기독교 영성’을 주제로 발제한 김 교수는 “챗GPT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대화형 정보 매체’로 의사·변호사 시험에 합격할 수 있을 정도의 지식을 갖고 있어 빠르게 성경을 번역하거나 예배 자료 준비 등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그러나 전문적이기보다 상대적인 과거의 지식을 갖고 있으며 시대정신 및 가치관과 세계관이 혼재돼있다는 단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챗GPT가 활용될수록 인간의 소외감이 커지는 것도 문제다. 김 교수는 “뇌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인간 소외는 불안과 공격성 증가를 유발해 사회 갈등과 폭력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인간이 AI와도 경쟁하면서 인간중심 교육과 지식의 가치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김 교수는 인간 존재의 이유, 죽음 이후의 한계 등 챗GPT가 답할 수 없는 인생의 중요한 문제를 답해야 하는 교회의 역할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수천 년의 기독교 역사 속에 교회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복음을 전하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기독교 진리가 더욱 공고해졌다”며 “기독교 영성의 핵심은 챗GPT에 질문하는 게 아니라 하나님께 질문하고 성경과 삶 속에서 답을 얻는 것이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화려한 언어가 아닌 관계의 중요성이 더 강조될 것이며 그 공허함을 교회가 채우려는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2023 국민미션포럼 생중계 링크: https://www.youtube.com/live/Hd2m8IkLcoE?si=BrZ_jICIMqtOr0OC
박용미 기자 m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