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운전자 10명 중 3명은 “운전면허 반납 고려”

입력 2023-10-04 15:34
국민일보DB

65세 이상 고령운전자 10명 중 3명은 자동차 운전면허 반납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교통공단과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가 지난달 11~22일 65세 이상 고령자 64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고령자 교통안전 사고 인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운전면허를 소지한 응답자 419명 중 31.7%(133명)가 운전면허 반납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납을 고려하는 배경으로는 ‘교통사고에 대한 위험 및 불안감’이 응답자(133명)의 43.6%(58명)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노화 등 건강 문제’(37.6%, 50명) ‘대중교통으로 대체 가능’(14.3%, 19명) ‘가족의 권유’(13.5%, 18명) ‘차량 관리 등 비용 문제’(10.5%, 14명)가 그 뒤를 이었다.

운전면허 반납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힌 응답자(286명)들이 밝힌 이유는 ‘시간 단축 등 이동 편의 때문에’가 응답자의 45.8%(131명)로 가장 많았다.

‘충분히 안전운전이 가능하다고 생각해서’가 35.0%(100명), ‘긴급 상황에 대비해서’가 24.1%(69명), ‘대중교통 이용의 불편함’이 22.4%(64명)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차량 후면에 부착하는 ‘고령운전자 표지’에 대해서는 긍정적 의견이 다수를 이뤘다.

표지 배부 시 자차 부착 의사를 묻자 면허 소지자의 63.7%(267명)가 부착 의사를 밝혔다. 표지 부착이 배려운전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을지 묻자 64.9%(272명)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도로교통공단은 오는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서울마당에서 설문 결과를 발표하고 고령운전자와 고령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어르신 교통사고 ZERO 캠페인’을 연다.

공단 관계자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만큼 보다 적극적인 어르신 교통 대책이 필요하다”며 “이번 조사를 계기로 고령보행자와 고령운전자에게 양보·배려하는 교통문화가 확산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