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가 최근 시유재산 관리 직원의 공금횡령 의혹을 계기로 공직기강 전면 쇄신에 나섰다.
시는 공직자 불법 비위 행위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강도 높은 인사 조치와 회계시스템 개편 등 공직 쇄신 특별대책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또 이날부터 비위행위 무관용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시행하고 공직자의 불법행위는 경중을 가리지 않고 가능한 최고 수준의 인사 조치와 사법적 조치에 나설 방침이다.
우선 고강도 인적 쇄신을 위해 국·과장 등 주요 간부를 전보 조치하고 특정부서 장기 근무자 재배치, 감사부서 외부전문가 채용 등을 통해 조직 내 분위기를 다잡기로 했다.
공사발주와 계약, 인허가 등 이권에 노출될 우려가 큰 근무자는 순환 근무를 원칙으로 하고 직계존비속의 동일 단위 조직 내 근무를 원천 배제한다. 업무담당자와 외부 관련 업체 간 특수관계인일 경우 전보 등을 통한 업무회피제를 도입키로 했다.
금품과 향응, 횡령 등의 이유로 인한 징계처분자는 승진대상에서 배제하고 지휘계통의 책임을 물어 부서장도 인사상 불이익을 받는다.
회계 부정을 원천 차단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시는 전 부서 별도계좌 전수 조사, 세입처리 시스템 개선, 회계 업무 정기 특별 감찰 활동 강화, 회계 관련 사무 전결처리 규칙을 일제 정비한다.
비위행위 제보를 받기 위한 신고센터를 집중 운영하고 제보된 내용은 사실 확인 후 위법·부당한 사실이 발견되면 관련법과 규정에 맞게 엄중 조치할 방침이다.
공직 내 자정 노력 강화에도 행정력을 집중한다. 고위공직자 대상 반부패·청렴 교육, 익명 제보 시스템 및 자율적 내부통제 제도 운영, 청렴 소통 간담회, 전 직원 대상 청렴 교육 내실화를 기하고 부서별 자체 청렴 쇄신책을 마련한다.
시는 지난 15일 비위 정황이 포착된 시유재산 관련 직원을 직위를 해제하고 수사기관에 고발했다. 수사가 완료되면 그 결과에 따라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시민의 신뢰를 훼손하는 사건으로 실망을 안겨 드려 송구스러운 마음”이라며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공직자 비위 행위에 대해서는 선처 없는 무관용의 원칙을 적용해 공직기강 확립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