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계획국이 ‘도시공간본부’로 격상된다. 녹지생태도심 업무 등이 이관되면서 현재 도시계획 업무를 넘어 오세훈 서울시장의 ‘서울 대개조’ 방안을 현실화하는 조직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도시계획국을 도시공간본부로 격상하는 내용을 담은 조직개편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여러 방향의 개편안이 논의되고 있고 다 정리가 된 상황은 아니지만 도시공간본부가 만들어지는 것은 맞다”고 말했다.
도시계획국은 주로 도시기본계획이나 지구단위계획 수립 등 계획 기반의 한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오 시장은 이에 대해 수차례 아쉬움을 드러낸 바 있다. 지난해 2040 도시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용도지역제에서 탈피한 ‘비욘드 조닝’ 개념을 도입한 것이나 최근 발표한 도시계획국을 도시공간국으로 개편하겠다는 안 역시 이런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7월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는 도시계획국 개편 취지에 대해 “수십 년 전 도시계획을 고집하지 말라는 경고다. 당신들이 할 일은 공간 개조라고 주문하는 것”이라고 강한 어조로 말하기도 했다.
도시계획국을 도시공간국이 아닌 도시공간본부로 격상하는 방안도 계획부터 사업까지 일원화해 ‘서울대개조’를 하겠다는 오 시장의 강력한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대표적으로 균형발전본부 산하 도심재창조과가 맡고 있는 녹지생태도심 관련 업무가 도시공간본부로 이관된다.
다른 시 관계자는 “지금까지의 도시계획국은 주로 계획·규제 등을 논의하는 부서였다면 도시공간본부는 실제 사업까지 같이 이뤄지는 부서가 될 것”이라며 “녹지생태도심 사업을 균형발전본부에서 넘겨받는 것도 공간 관련 사업과 기획, 계획 기능 등이 통합하는 취지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철도나 미래 교통 등 광역 교통 기능까지 일부분 도시공간본부로 넘어갈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UAM(도심항공교통) 등 미래 교통수단과 관련한 내용을 공간 구상 시점부터 담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다만 시 관계자는 “현재 단계에서 교통과 관련한 업무를 추가하는 내용을 논의하진 않았다”고 말했다.
도시공간본부 내에는 기획관(3급) 보직도 추가로 생길 가능성이 크다. 대신 현재 3급 보직인 균형발전본부의 동남권사업단이 과(4급) 단위로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균형발전본부는 최근 발표한 잠실 스포츠·MICE 민간투자사업이나 남산 곤돌라 사업 등을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다음 달 중으로 조직개편안을 마무리한 뒤 11월 시의회 정례회에 조직개편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정례회에서 통과될 경우 내년 1월 도시공간본부가 출범하게 된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