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 푸른도시 만들기 사업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10여 년 동안 도시 숲과 공원 조성면적이 특별·광역시 중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광주시와 산림청에 따르면 도시 중심부에서 심화하는 ‘열섬 현상’을 극복하고 미세먼지 등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해마다 일상생활권에 푸른 숲과 공원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429곳, 376㏊ 면적의 도시 숲과 산림공원이 조성된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로 생활환경 숲 146㏊, 녹색 쌈지 숲 133㏊, 산림공원 78㏊, 미세먼지 차단 숲 11㏊ 등이다. 시와 산림청은 도시 숲 법 시행 이전 사업명칭에 따라 구분해 집계한 수치 자료라고 설명했다.
시의 이 같은 숲·공원 조성면적은 총면적 기준으로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이다. 광주는 부산(229㏊), 대구(223㏊), 대전(197㏊), 서울(119㏊) 등에 크게 앞섰다.
시는 그동안 누구나 살고 싶어하는 푸른도시 만들기 차원에서 도심 소규모 공간을 잇는 조각숲 띠잇기 등을 통해 1000만 그루 나무심기 운동을 범시민적으로 펼치기도 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시민에게 균등한 녹색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광주의 숲과 공원은 향후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민간공원 특례사업, 재정공원 조성 사업 추진에 따른 것이다.
도시계획 일몰제에 의한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20년 이상 공원 부지로 지정됐으나 여러 이유로 사업이 미뤄진 곳을 대상으로 한다.
사업시행자인 건설사가 도시계획으로 지정된 사유지 등을 매입한 뒤 70%에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하고 비공원 시설면적 30%에 아파트 등을 지어 사업비를 충당하는 방식이다.
민간사업자와 손잡고 시민휴식 공간인 공원을 공동 개발하는 것이다. 광주에서는 광주 중앙공원 등 9개 공원·10개 사업지구에 이 같은 공원 면적만 714만㎡(714㏊)에 달한다.
시가 자체 예산을 투입하는 15개 재정 공원(137만8000㎡)까지 더하면 852㏊ 규모 공원이 향후 새롭게 조성된다.
시는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 시설 일몰제 적용을 앞두고 이들 사업 대상지의 실시계획 인가를 마쳤다. 20년의 기간이 경과돼 자동으로 해제되는 공원 면적을 지켜냈다.
이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생활권 주변 다양한 도시숲 조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기후 대응과 도시경관 보호, 역사·문화 존속 등을 위해 기능별로 도시 숲과 공원을 지속해서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송용수 시 기후환경국장은 “푸른도시 광주가 되기 위해 현재 조성 중인 숲, 공원은 물론 이미 완성된 녹색공간에 대한 관리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