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매장 절도 범죄자 중 10대가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SNS)에 절도 방법까지 공유하는 실정이다.
보안기업 에스원은 2019년부터 올해 6월까지 4년6개월 간 무인매장 절도 범죄를 분석한 결과, 범죄를 저지르는 연령대로 10대가 52%에 달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어 20대 36%, 30대 7% 등이었다. 에스원은 “최근 10대 사이에서 SNS를 통해 절도 요령까지 공유하는 등 하나의 ‘놀이’처럼 번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학교 주변에 있는 무인매장이 학생들의 ‘아지트’가 되면서 절도로 이어진다고도 했다.
무인매장 절도 범죄가 발생하는 요일과 시간대는 휴일(토·일요일 34%), 심야시간대(자정~오전 6시 61%)였다. 주로 현금을 노린 범죄(91%)이고, 장도리·망치·드라이버 등을 이용해 키오스크를 파손하고 현금을 빼가는 식이다. 키오스크나 동전교환기를 통째로 들고 도주하는 사례도 있다.
골목상권에 있는 소규모 매장이나 현금 결제가 많은 업종이 주요 표적이다. 업종별로는 무인 빨래방(33%), 무인 사진관(33%), 무인 아이스크림(17%), 인형뽑기방(17%) 순이다.
에스원은 “점주들은 긴 추석연휴를 앞두고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에스원은 영상 보안·긴급 출동·키오스크 감시 등이 가능한 무인매장 전용 솔루션 ‘에스원 안심24’를 출시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