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최후 항쟁지 옛 전남도청 2025년 복원…10월 착공

입력 2023-09-22 14:00

5·18 민주화운동 최후 항쟁지인 옛 전남도청이 10월 복원공사에 들어간다. 226억원을 들여 2025년 상반기 공사가 마무리된다.

22일 문화체육부 한시조직인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에 따르면 총면적 14만480㎡, 대지면적 8만 30004㎡에 복원하는 건물은 도청 본관과 별관, 회의실, 도 경찰국과 민원실, 상무관 등 6개 동이다.

이 중 도청 별관과 도 경찰국은 이미 철거한 뒤 현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시설로 일부 활용 중이어서 건물구조의 안전성 등을 고려해 제한 복원한다는 방침이다.

승용차 1052대의 동시 주차가 가능한 주차장도 별도 건립한다.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광주 동구청에 제출한 일부 건물의 해체계획서 승인이 이뤄지면 곧바로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복원공사는 남양건설 에이치비건설 드림전력이 시공을 맡았다.

복원추진단은 본격 공사에 앞서 지난달부터 인근에 안전펜스를 두르는 가설공사를 벌이고 있다. 안전펜스에는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 5·18민주화운동 항쟁 과정을 담은 사진과 설명이 부착됐다.

옛 전남도청 복원공사는 1980년 당시 원형을 최대한 살리는 데 주안점을 둔다. 5·18민주화운동의 역사를 간직한 시민 친화적 공간이 될 옛 전남도청 6개 동은 5·18 당시 각 건물의 서사와 특성을 살린 추모·기억·전시·교육·체험 공간이 꾸며진다.

복원추진단은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 본관과 광주시 유형문화재인 회의실 복원을 위해 1980년대와 흡사한 자재를 선정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회의실의 경우 바닥, 벽, 천장 보강 공사에 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받고 전문 문화재 수리 업체에 의뢰해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도청 본관 역시 단종된 마감재의 경우 당시와 비슷한 자재로 대체하거나 일부 공법을 변경해 원형 복원을 추진한다. 옛 전남도청 벽 등에 박힌 탄흔은 아크릴판으로 둘러 보호하기로 했다.

옛 전남도청은 1980년 당시 계엄군에 맞서 민주화를 외친 시민군의 지휘본부이자 5월 27일 계엄군 진압 작전이 이뤄진 최후 항전지다. 전남도청이 2005년 무안 남악 신도심으로 이전하고 아시아문화전당이 들어서면서 원형 일부가 훼손됐다.

절반 가까이 철거된 도청 별관은 현재 1, 2층에 아시아문화전당 관련 시설이 들어서 원형복원이 어려운 상황이다. 별관은 2013년 5~6월 전체 건물 54m 중 좌측 24m가 철거돼 현재 아시아문화전당 방문객들을 위한 출입구로 활용되고 있다.

복원추진단은 이에 따라 출입구는 손대지 않고 별관 3~4층만 복원할 계획이다.

옛 전남도청은 2017년 5·18 제37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정부 차원의 원형복원을 약속하면서 구체화했다. 여·야 정치권의 찬반논란 등 숱한 우여곡절을 거쳐 6년여 만에 착공하는 복원공사는 2025년 완공될 예정이다.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 관계자는 “최대한 1980년 원형대로 복원하기 위해 5월 단체, 광주시 등과 매달 만나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거나 기부를 받아왔다”며 “원형복원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