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21일 국회 본회의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가결되자 “이제 국회는 ‘이재명 리스크’에서 벗어나 오직 국민을 위해 일해야 할 시간”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다만 당내에서는 ‘이재명 사법 리스크’가 해소되는 것이 오히려 내년 총선에서 여당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직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어느 누구도 민심을 이길 수는 없다. 민심을 반영한 결과”라며 “민주당도 이 상황으로 조금 혼란스럽기는 하겠지만 공당으로서 민생을 책임지는 책임 있는 모습으로 돌아와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방탄을 위한 그 어떤 꼼수도 법치를 피해 갈 수 없음이 다시 한 번 증명됐다”면서 “당장 다가오는 인사청문회와 국정감사 등 국회 본연의 업무에 매진하고 경각에 놓인 민생을 돌보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논평했다. 강 수석대변인은 또 “민주당은 이제 환골탈태의 모습으로 국민께 그동안 보였던 행태에 대해 속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국민의힘 내부에선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이 오히려 여당을 불리한 형국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국민의힘이 지금까지 ‘이재명 사법 리스크’에 따른 반사 이익을 누려왔는데, 그 리스크가 어느 정도 해소된다면 반사 이익도 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한 여당 의원은 “대선공작·통계조작 등 민주당에 악재인 사태가 연이어 터져도 민주당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며 “그나마 국민 여론에 가장 타격을 줄 수 있는 사건은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인데, 이 대표가 계속 수사를 받는 상황이 지속돼야 당에 유리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상태에서 이 대표의 구속영장이 기각되는 것도 국민의힘이 우려하는 상황이다. 이 경우 ‘정치 검찰의 무리한 수사’라는 민주당의 주장이 입증되면서 이 대표는 회생하고 여권은 역풍을 맞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대표가 구속되는 경우에도 국민의힘 입장에선 민주당의 ‘포스트 이재명’ 체제에 대한 경계심을 늦출 수 없다. 이 대표 구속을 계기로 민주당 지지층이 똘똘 뭉치는 가운데 비명(비이재명)계 인사 중 새로운 리더가 등장하면 중도층 흡수 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서다. 국민의힘 한 초선 의원은 “당 지지율이 오르지 않는 상황에서 민주당의 리스크가 해소되면 우리 당 입장에선 최악의 시나리오가 아닌가”라고 우려했다.
박민지 구자창 박성영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