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디지털자산 거래소 설립을 위한 구체적인 사업 계획안이 드디어 공개됐다. 분권형 거버넌스 하에서 원자재, 귀금속, 지식재산권, 탄소배출권 등 가치 있는 모든 자산을 토큰화해 거래하는 4세대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소를 만든다는 것이 골자다.
박형준 부산시장과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 추진위원회는 21일 부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시는 지난해 12월 부산 디지털자산 거래소 설립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 왔다. 위원장은 블록체인 정책 전문가인 김상민 전 국회의원이 맡았다.
부산 디지털자산 거래소 법인은 연내 출범할 예정이다. 내달 중순부터 거래소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모 절차를 추진해 11월 중 최종사업자를 선정, 연내 거래소 법인을 출범한다는 방침이다.
법인은 100% 민간 자본으로 설립된다. 거래소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가진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업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사업에 참여해 법인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단, 부산시는 조례에 따라 설립과 운영 전반에 행정적·재정적 지원하게 된다.
거래소는 예탁결제, 상장평가, 시장감시 등 기능을 별도 기구가 관리하는 분권형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계획대로라면 거래소 영업은 내년부터 시작한다. 거래소는 금, 은, 구리, 원유, 암모니아 등 부산항을 통해 거래되는 품목을 토큰화해 거래한다. 여기에 부산국제영화제 등 지식재산권(IP), 탄소배출권 등도 거래할 수 있는 시장이 조성된다. 특히 가상화폐나 증권형 토큰증권(STO)으로도 거래 분야를 넓힐 계획이다.
거래소의 핵심 인프라는 4세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기존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 거래와 같이 3세대(서버 컴퓨터) 기반이 아닌 블록체인망을 이용해 해킹에 안전하고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고객도 본인 자산을 중계인 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고, 거래 비용도 줄일 수 있다.
한편 시는 이날 2026년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선 블록체인 기술 기반 최첨단 도시로 부산을 탈바꿈시키고, K-블록체인 산업을 미래 먹거리산업으로 육성하는 지원책도 내놨다.
이를 위해 부산 내 금융기관 등이 주축이 되는 ‘부산 블록체인 혁신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블록체인 기술기업의 연합체인 ‘부산 블록체인 얼라이언스’를 출범할 예정이다. 여기에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를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의 적용을 받을 수 있는 ‘글로벌 혁신 특구’로 승격시키겠다는 것이 부산시의 계획이다.
김상민 위원장은 “부산에 블록체인 기반의 분권형 공정·통합 거래소 모델을 만들어 전 세계 표준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블록체인 분야에서만큼은 세계시장을 선도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중부는 물론 블록체인 업계와 널리 소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