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넘게 끌어온 전북 전주종합경기장 부지 개발 계획이 마이스(MICE·회의, 전시, 컨벤션, 전시 행사) 복합단지로 개발하는 내용으로 또 다시 변경됐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대기업에만 특혜를 주는 계획이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전주시의회는 21일 임시회 본회의에서 전주시가 제출한 ‘종합경기장 이전 및 복합단지 개발사업 변경계획 동의안’을 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동의안은 종합경기장 개발 방향을 ‘종합경기장 이전사업’에서 ‘종합경기장 마이스 복합단지 개발사업’으로 변경하는 것을 뼈대로 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방식이 당초 전체 부지 12만715㎡의 53%(6만3786㎡)를 롯데쇼핑에 양여하는 기부대양여 방식에서 27%(3만3000㎡)를 대물로 변제하는 대물변제 방식으로 변경됐다. 또 ‘전시컨벤션센터 사업비 3000억 원 중 민간자본은 2000억 원, 시는 1000억 원 부담’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전주시는 2012년 민간사업자 선정 및 협약체결 이후 10년 이상 지지부진하던 전주종합경기장 부지개발이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시는 전임 김승수 시장 시절 종합경기장을 시민공원으로 개발하기로 하고 2015년과 2019년 시의회의 동의를 받았으나 우범기 시장 취임 이후 마이스 복합단지를 개발하는 것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이에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이날 본회의에 앞서 성명을 내고 “전주 도심 노른자 땅을 시민의 필요와 요구가 아닌 롯데의 사업성만 키워주는 변경안을 공론화와 철저한 검토 없이 가결한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며 “시의회는 동의안을 부결하고 다시 논의하라”고 촉구했다. 환경연합은 “이번 안은 기존 장기 임대 방식보다 대기업이 더 많은 이익을 가져갈 가능성이 크고 롯데가 건축비 중 2000억원을 현금이 아닌 건축물로 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건물 원가가 달라질 수 있는 등 시민 공공이익에 부합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전주시민회도 “전주시 스스로 종합경기장 부지에 대한 도시계획을 변경하고 구역을 나누어 부지를 매각한다면 롯데에 맡기는 것 보다 훨씬 적은 예산으로 컨벤션센터를 지을 수 있다”며 “전주시민의 권리인 경기장부지 개발에 관한 일체의 권리를 롯데쇼핑에 헌납하겠다는 것이 이번 변경안의 골자”라고 꼬집었다. 정의당 전주시위원회는 “이번 변경안은 2019년보다 훨씬 더 후퇴한 내용을 담고 있다”며 “컨벤션센터 건립비 부족분 1000억원은 고스란히 전주시가 재정을 부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