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는 최근 ‘제1회 한미 우주의학 심포지엄’을 열었다고 20일 밝혔다.
인하대 우주항공의과학연구소와 국립보건연구원이 공동주관한 이번 심포지엄에는 인하대 연구진을 포함한 동국대, 광주과학기술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대학·학계 연구진과 보령의 우주의학분야 책임자 등이 참여했다. 또 미국우주항공청(NASA) 산하 조직인 TRISH와 이스턴 버지니아 의과대, 노퍽주립대, 하버드대 교수·연구진도 함께 참여해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우리나라의 IT의료기기, 재생의료, 바이오·디지털 헬스케어 등 선진화한 보건의료기술을 미국의 앞선 우주연구개발 플랫폼에 접목해 우주개발 분야 발전에 국제적으로 공헌하고 상호 이익에 부합하는 성과를 만드는 게 목표다. 최근 달과 화성 등 심우주탐사의 국제협력과 지구저궤도의 상업화, 바이오제약·의료기기 등 분야에서 우주기술 산업화가 가속화하고 있는 국제정세를 반영했다.
TRISH의 도릿 도노벨 소장은 심포지엄에서 “우주개발에 있어 우주의학 분야는 인간의 활동 영역을 확대하는 유인 우주활동뿐 아니라 우주기술을 지상에서 활용하고 산업화할 수 있는 최적의 분야”라며 “대학 기반의 NASA 산하 우주기관인 TRISH의 모델은 앞으로 한국이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개발 리더십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우주의학 분야의 유연성과 전문성을 높이는데 좋은 참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성 인하대 우주항공의과학연구소장은 “우리나라에서 아직 생소한 우주의학 분야에서 국제 공헌과 국가이익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선 한미협력을 중심으로 우주 선도국과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게 중요하다”며 “우리의 앞선 보건의료기술을 우주 환경에 접목해 선도적 분야를 확보하는 노력이 더해진다면 이번 심포지엄은 우주의학을 개척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