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이 쿨릭 주한러시아대사가 우리 외교부에 초치된 자리에서 “북‧러 군사협력 관련 주장은 근거 없는 추측”이라고 말했다고 러시아 타스통신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타스통신은 “한‧미 언론에 의해 증폭되는 추측성 주장은 아무 근거가 없다고 한국 파트너들에게 분명히 밝혔다”는 주한러시아대사관의 설명과 함께 우리 외교부에 초치된 쿨릭 대사의 입장을 이렇게 전했다.
주한러시아대사관은 “러시아는 우호적 이웃이자 오랜 파트너인 북한과의 상호 유익한 관계 발전과 관련되는 것을 포함해 모든 국제의무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장호진 외교부 1차관은 같은 날 오후 쿨릭 대사를 서울 종로구 청사로 불러 북한과의 군사협력 움직임을 즉각 중단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준수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장 차관은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를 채택한 상임이사국이자 국제 비확산 체제 창설을 주도한 당사국 중 하나인 러시아가 책임 있게 행동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13일 러시아 극동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당시 김 위원장은 푸틴 대통령과 함께 우주기지 내부 시설을 시찰했다.
같은 날 푸틴 대통령과 헤어지고 러시아에 체류하며 단독 일정을 시작한 김 위원장은 15일 러시아 하바롭스크주 콤소몰스크나아무레에서 수호이 전투기를 생산하는 유리가가린공장을 방문해 시범 비행을 지켜봤다.
이튿날인 16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인근 크네비치에서 극초음속 미사일 ‘킨잘’과 핵 탑재 가능 장거리 전략폭격기, 태평양함대 소속 대잠 호위함과 장거리 순항미사일 ‘칼리브르’를 둘러봤다.
김 위원장의 이런 행보를 놓고 국제사회와 지정학 전문가들은 북한이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에 탄약‧미사일 등 군수품을 제공하고, 인공위성‧로켓‧극초음속 전투기‧핵잠수함 같은 고급 군사기술을 넘겨받을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러시아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면서 북한과의 협력 관계를 키워갈 것이라고 주장한다. 러시아 대통령 집무실인 크렘린궁의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변인은 지난 15일 “북‧러 정상회담 이후 군사기술 협력을 포함한 어떤 분야의 협정에도 서명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