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과거 창업했던 ‘위키트리’ 운영사 지분 100%를 공동창업자에게 매각했고, 남편·시누이와의 연관성은 없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자는 18일 서울 종로구의 한 건물에 마련된 인사청문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위키트리’ 지분과 관련한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2013년 (박근혜정부) 청와대 대변인으로 가면서 백지신탁 명령을 받았다. 당시 회사는 적자였고 금융권 부채도 많아 팔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분 100%를 당시 공동창업자에게 넘겼다. 공동창업자는 이미 내 지분을 확보해 1대 주주로서 회사를 장악했다. 남편 지분을 살 필요가 없었다”며 “시누이는 ‘올케가 공직에 갔는데 나라도 떠안아 주겠다’며 (지분을) 산 것”이라고 덧붙였다. 적자 기업 지분을 매각할 대상을 찾을 수 없어 시누이에게 팔았다는 얘기다.
김 후보자는 “소셜홀딩스가 (위키트리 운영사인 소셜뉴스의) 지배회사다. (소셜홀딩스에서) 시누이 지분은 없다. 당시 공동창업자가 100% 지배하게 됐다”며 “시누이는 소셜뉴스만 12%가량을 보유했다. 대주주가 아닌 여러 주주 중 하나로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없었다. 시누이가 대주주라는 얘기는 황당하다”고 말했다.
앞서 김 후보자는 지난 15일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 혹은 위키트리와 코바나컨텐츠 사이의 연결고리에 대한 의혹을 반박했다. 코바나컨텐츠는 김 여사가 운영했던 전시기획 업체다. 김 후보자는 “2013년 청와대 대변인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위키트리 지분을 백지신탁했고 회사를 떠났다. 나와 무관한 회사가 됐다”고 말했다.
공직자윤리법에서 시누이는 주식 백지신탁 대상의 이해관계자는 아니지만 “무관한 회사”라는 김 후보자의 당시 해명은 의문을 남겼다. 김 후보자는 이날 남편의 소셜홀딩스 감사 등재 의혹에 대해 “인터넷상에서 등기부등본을 확인해보면 (남편이) 감사로 등록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며 부인했다.
김 후보자는 여가부 폐지에 대한 찬성 취지의 입장도 재확인했다. 그는 “대통령 공약이기도 하지만 정부 효율성을 높이고 공공서비스를 잘하기 위해 상당히 고심한 끝에 나온 방안”이라며 “여가부 고유의 업무가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다. 공무원 구조조정도 아니다”고 말했다.
다만 “여가부가 존속하는 한 부처 고유업무를 철저히 챙겨 차질이 없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