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일본에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 후속 조처로 주변국과 대화하고 역사를 제대로 알리겠다는 기존 약속을 지키라고 결정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세계 유산 등재 후속 조치에 대해 관련국과 대화하라는 내용을 담은 결정문을 채택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 9일 세계유산위원회 홈페이지에 공개된 결정문 초안과 같다.
일본은 2015년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될 때 조선인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려 나가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일본이 강제노역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정보센터를 유산 현장이 아닌 도쿄에 만든 데다 정보센터 전시물에 조선인 차별이나 인권 침해가 있었다는 사실을 부각하지 않는 등 역사를 왜곡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번 결정에서 당사국이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 결정의 요청들에 대해 몇 가지 추가적인 조치를 취했음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새로운 증언 등을 포함한 추가 연구, 자료 수집 및 확인 작업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관련 당사국들과의 대화도 지속하라고 독려했다. 여기서 언급된 당사국은 사실상 한국이 핵심인 것으로 평가된다.
또 세계유산위가 주문한 사항에 관한 진전을 세계유산센터 및 자문기구들이 점검할 수 있도록 2024년 12월 1일까지 제출하라고 일본에 요청했다.
앞서 세계유산위원회는 2021년 7월 조선인 강제징용자에 대한 설명 부족 등을 지적하며 일본에 이례적으로 ‘강력한 유감’을 표하는 결정문을 내놓았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