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전날 행정안전부의 온천도시 지정 심사에서 창녕 부곡온천이 ‘한국 최초 온천도시’로 최종 지정됐다고 14일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온천도시 지정은 지난 2010년 ‘온천법’에 관련 조항이 만들어진 이후 첫 시행으로 경남 창녕 부곡, 충남 온양, 충북 수안보가 공동 지정됐다.
‘온천도시’는 온천산업을 통해 지역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으로 ‘온천법’에 따라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정하며 온천을 지속 이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예산 확보와 관련 시책 수립 등 정부 차원의 행·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부곡이 전국 최초 온천도시로 지정됨에 따라 정부가 보증하는 브랜드 효과로 그동안 대중이 느끼던 낙후 이미지의 개선 효과와함께 시설물 개선을 위한 국비 예산 지원 근거가 마련돼 부곡온천 활성화가 기대된다.
도는 행정안전부 온천도시 지정 심사단의 현장심사와 발표심사를 통해 창녕 부곡이 타 지역에 비해 특색 있는 온천도시로 평가, 도는 행정안전부를 수 차례 방문해 설명하는 등 노력을 기울인 결과 1호 온천도시로 지정받았다고 설명했다.
행정안전부 ‘전국 온천 현황’에 따른 부곡온천 이용객은 2008년 330만명→2013년 388만명→2017년 310만명→2019년 280만명→2021년 262만명→2022년 264만명으로 감소 추세다.
보통 도심에 위치해 목욕이 주기능인 다른 온천에 비해 부곡온천은 온천을 테마로 하는 관광지로 부곡을 방문하는 관광객 숫자가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관광객의 감소는 곧 지역 경제 침체로 이어질 수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와 창녕군은 ‘부곡온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먼저 공동급수 시설은 창녕군 자체 용역 후 소요되는 사업비에 대한 국비 지원을 건의할 계획으로 온천자원 절약 외 전국 최고 수온의 온천수를 에너지 산업에 활용하는 등 온천수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한때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관광객 감소와 시설 노후화 등으로 지난 2017년 폐업된 부곡하와이의 부지 개발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달부터 경남도와 창녕군이 함께 부곡하와이 부지에 대한 ‘민간투자 컨설팅 용역’을 통해 투자 상품성을 높이고 투자유치 설명회를 하는 등 민간투자 유치에 적극 나서는 한편 부족한 투자여건 개선을 위해 정부 ‘지역 투자 펀드’ 활용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이번 행정안전부의 온천 도시 지정은 부곡온천의 우수성을 전국에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며 “관광 활성화를 통해 소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모델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