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섭 국방부 장관 사의 표명으로 후임 장관 인선 작업이 진행되면서 대구시와 국방부 간 군부대 이전사업 관련 업무협약(MOU)이 연기됐다. 대구시는 MOU가 연기돼도 실무적인 절차는 그대로 진행되기 때문에 차질 없이 사업이 진행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는 지난 11일 예정됐던 국방부와 대구시의 도심 국군부대 이전 관련 MOU가 연기됐다고 14일 밝혔다. 협약 재개는 신임 장관이 뽑힌 후 이뤄질 전망이다.
국방부 장관 교체에 따른 MOU 연기를 놓고 일각에서 사업 자체가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대해 시는 국군부대 이전사업의 경우 투 트랙 전략으로 진행됐기 때문에 사업 추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앞서 시는 민·군상생 MOU 체결과 실무진 이전 행정절차 진행을 동시에 추진하는 전략을 마련했다. MOU는 지연됐지만 이와 별개로 실무 차원의 군부대 이전 절차는 그대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시는 향후 관·군협의체를 통해 주요 현안사항을 계속 협의할 예정이다. 5개 유치희망지역 대상 작전성 검토, 대구 통합주거타운과 이전 지자체의 민·군상생타운 조성계획 마련, 최적 이전지 선정 절차와 평가기준 마련 등을 계획대로 진행해나갈 방침이다.
대구 군부대 통합이전 사업은 대구에 있는 국군부대와 미군부대를 대구 인근 지역으로 이전하는 사업이다. 대구는 도심 개발 기회를 얻을 수 있고 이전지역은 인구 증가, 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시는 당초 육군 제2작전사령부와 제50보병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방공포병학교 등 국군부대 4곳과 캠프워커, 캠프헨리, 캠프조지 등 미군부대 3곳을 통합이전하는 사업을 추진하다 국군부대 우선 이전으로 방향을 수정했다.
경북 상주시, 영천시, 의성군, 칠곡군과 대구에 편입된 군위군이 유치 의향서를 제출했다. 유치 의사를 밝힌 기초단체들은 추진위원회 등을 구성하고 유치 퍼포먼스 등을 벌이며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행정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하면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후보지 1곳을 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