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이 14일 오전 9시부터 18일 오전 9시까지 제1차 총파업에 돌입한다.
철도노조는 이날 오전 9시 전국에서 지부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서울·부산·대전·영주·광주송정역 등 전국 5개 거점에 모여 총파업 결의대회를 개최한다.
노조에 따르면 이번 총파업에는 필수 유지인력 9000여명을 제외한 조합원 1만 3000여명이 참여한다.
철도노조는 수서행 고속철도(KTX) 투입 등 공공철도 확대, 4조 2교대 전면 시행, 성실 교섭 등을 촉구하고 있다.
제2차 파업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노조는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측의 입장을 지켜보며 향후 대응 방침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철도노조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원만한 해결을 위해 준법투쟁을 연기하고 중앙노동위원회 사후 조정을 하는 등 최선을 다해왔다”며 “전날 막판 교섭까지 했지만 합의 타결에 실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14일 철도노동자의 총파업은 열차의 안전과 시민 편익을 지키는 투쟁”이라며 “불합리한 철도 쪼개기를 저지하고, 시민 불편을 해소할 유일한 대안인 수서행 KTX를 쟁취해 시민 품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에스알(SR)이 운영하는 수서고속철도(SRT) 노선이 지난 1일부터 경전·전라·동해선으로 확대되고 경부선 주중 운행은 축소됐는데, 철도노조는 SRT와 KTX의 분리 운영을 철도 민영화 수순으로 보고 있다.
최명호 철도노조 위원장은 “철도정책과 시민 요구가 정면으로 충돌하는 상황에서 철도노동자가 설 곳은 시민이 계신 곳”이라며 “시민의 편리한 열차 이용과 동떨어진 국토부의 철도정책은 수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