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건설 경기 위축, 고물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시민들이 추석 명절에 소외되지 않도록 대구시가 나선다. 추석 전까지 지역 모든 관련 기관들과 함께 서민경제 안정에 집중할 방침이다.
시는 지역 근로자들이 풍요로운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27일까지를 ‘임금체불 예방 및 근로자 지원 특별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시·구·군 합동 체불임금 예방점검반을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시·구·군 일자리 주관부서 내 체불임금 예방점검반을 편성해 공공기관과 건설 현장을 중심으로 발주 공사대금, 물품 구입대금 등을 조기에 지급하도록 독려해 임금체불을 예방할 계획이다.
동북지방통계청의 2023년 7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대구 건설수주액은 36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2261억원)보다 84% 줄었다. 부동산 시장도 얼어붙어 지역 경제에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이에 시가 특별점검에 나선 것이다.
시는 체불임금 해소를 위한 피해근로자 지원제도도 적극 홍보할 예정이다. 임금체불 근로자는 ‘체불임금 등 대지급금 제도’에 따라 지방고용노동청과 근로복지공단 심사를 통해 3개월치 체불액을 받을 수 있다. 사업주는 최대 1억5000만원까지 체불청산 지원 융자금을, 근로자는 최대 1000만원까지 생계비 융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시는 대구지방고용노동청, 근로복지공단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체제를 강화하고 체불 발생 시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체불청산 기동반, 고용노동부 근로감독기획과에 즉시 통보해 함께 대응할 계획이다.
안중곤 대구시 경제국장은 “추석 연휴 전까지 임금체불 예방에 최선을 다해 지역 근로자들이 넉넉하고 행복한 한가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추석 명절 성수품 물가 잡기에도 관계기관과 함께 나선다. 지난달 대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했다. 이에 시는 이달 초 관련 기관들과 추석 명절 성수품 가격안정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27일까지를 추석 명절 물가안정 특별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9개 구·군과 함께 물가대책 종합상황실을 운영한다. 가격표시 이행 준수 등 불공정 거래행위에 대해 지도점검한다. 또 명절 성수품 33개 품목을 중점 관리품목으로 선정해 가격 조사를 실시하고 대구시 홈페이지 물가동향에 공개한다.
농수산물도매시장과 도매법인의 농축수산물 공급물량을 점검해 산지 집하 활동과 출하를 독려한다. 전통시장 소비 활성화 행사 등을 개최해 명절 분위기를 띄울 방침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