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교육청이 악성민원 등 교권침해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교직원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추진한다.
김지철 충남도교육감은 11일 도교육청 상황실에서 열린 주간업무보고 회의에서 “악성 민원이나 각종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는 교직원이 없는지 전수조사하고 치유 대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지난달 28일 발표한 도교육청의 교권보호 방안이 학교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그는 “서이초 선생님의 안타까운 죽음 이후 현장 선생님들이 상처를 입고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충남에도 교권침해때문에 홀로 괴로워하는 선생님이 계실까 염려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교육청의 교권보호 강화 방안이 학교에 잘 안착될 수 있도록 살피고, 새롭게 보완할 내용이 있는지 교원 단체 및 현장 선생님들과 소통하겠다”며 “교육청 모든 부서가 선생님들의 정당한 교육활동과 학생의 학습권을 함께 지킬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이와 함께 현장체험학습 시 ‘노란버스’ 대신 일반 전세버스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모든 민·형사상 책임은 도교육청이 지겠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지난해 10월 법제처가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어린이 이동도 통학에 해당한다’는 유권해석을 내놓으면서 체험학습을 취소하는 학교가 무더기로 발생하는 등 큰 혼란이 빚어졌다.
김 교육감은 “현장체험학습 시 일반 전세버스를 활용하다 문제가 발생하면 민·형사상 책임은 모두 도교육청에 있음을 안내하는 공문을 지난 8일 학교에 발송했다”며 “관련 부서는 학교가 안전한 현장체험학습을 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