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 물려 올해 19명 사망…야외활동엔 긴옷 필수

입력 2023-09-09 14:02
지난 2013년 6월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일대에서 서울 보건환경연구소 직원이 작은소참진드기를 채집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진드기에 물려 걸리는 감염병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올해 들어서만 100명 넘게 발생했다. SFTS는 아직 예방 백신과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SFTS 신규 환자 3명이 추가돼 올해 누적 확진자가 108명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19명이 숨져 치명률은 17.6%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환자 수는 같고 사망자는 1명 늘었다.

3급 법정 감염병인 SFTS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된다. 진드기에 물리면 5∼14일의 잠복기를 거쳐 38도 이상의 고열과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난다.

이 병은 4∼11월에 주로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선 2013년 처음 발견돼 지난해까지 총 1697명의 환자가 나왔고, 그중 317명이 사망했다. 누적 치명률은 18.7%다.

올해 환자 108명 중엔 여성이 65명으로 60%였다. 평균 연령은 68.4세로, 60대 환자가 32.4%였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기 위해서는 농작업 등 야외활동을 할 때 긴소매 옷과 긴 바지 등을 입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는 등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풀밭에 앉을 땐 돗자리를 사용하고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은 다니지 않는 것이 좋다.

또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이나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환자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된 의료진의 감염 사례도 드물게 있어 의료진도 개인보호구를 착용하는 등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