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공동선언 조율 난항…“인도, 중·러 입장반영 제안”

입력 2023-09-08 17:32
7일 인도 국기의 삼색 조명이 켜진 뉴델리의 한 건물에 주요 20개국(G20) 엠블럼이 설치돼 있다. AFP연합뉴스

오는 9일 인도 뉴델리에서 개막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회원국 간 입장차로 공동선언 도출이 힘들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의장국인 인도가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7일(현지시간) 인도 정부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해 인도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에 따른 고통을 비판하면서도 G20 정상회의가 지정학적 문제를 다루는 자리가 아니라는 러시아·중국의 입장을 함께 공동선언에 담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한 인도 정부 관계자는 “모든 G20 회원국이 문건(공동선언) 구조를 지지하면 이는 하나의 합의”라며 “우리는 러시아와 G7, 중국을 포함한 모든 G20 회원국의 입장이 공동선언에 담기는 상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다른 대안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더욱 일반적인 표현을 담는 방안이 있다”고 설명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G20 의장국 지위를 통해 이번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문제에 대한 합의를 끌어내는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애써왔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 등 여러 이슈에 있어 미국과 서방, 중국과 러시아 등이 입장차를 보이고 있어 공동선언이 도출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많았다.

게다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번 회의에 불참해 의사결정이 더 어려워진 터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공동선언 도출에 실패하면 이는 G20 역사에서 첫 사례로 기록된다. 올해 초 G20 외교·재무 장관 회의도 공동선언 채택 없이 끝났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회원국들이 수일 동안 언쟁을 벌인 끝에 겨우 공동선언에 합의했다.

개발도상국 관련 의제도 합의가 쉽지 않은 부분이다. 앞서 모디 총리는 이번 G20 회의에서 빈곤국 채무 조정, 기후변화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인도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채무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개발도상국에 구제책을 마련해 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이 지고 있는 부채 3분의 2는 채권국이 중국으로 중국이 움직이지 않는 이상 논의가 어렵다.

식량 및 에너지 안보 문제도 논의 테이블에 오른다. 그러나 이 또한 ‘흑해곡물협정’이 중요한 관건이다. 러시아가 동의하지 않으면 논의가 진전되기 어려운 것이다. 기후위기 관련 문제 역시 오는 11월 말 두바이에서 열리는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로 미뤄질 수 있다.

G20 정상회의는 9일부터 이틀 간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진행된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