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JCC)에서 리창 중국 총리를 만나 회담을 가졌다.
윤 대통령이 지난달 18일 미국 캠프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 이후 중국의 최고위 인사를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리 총리는 중국 서열상 시진핑 국가주석에 이어 2인자다.
윤 대통령은 리 총리를 만나 북핵 문제를 포함한 안보 이슈와 한·중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은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6일 밤까지 막판 조율을 벌인 끝에 성사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같은 장소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참석해 북한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북·러 무기 거래 논의를 추진 중인 러시아를 겨냥해 이틀 연속 경고 메시지를 발신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은 불법적인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로 인해 유엔 안보리로부터 가장 엄격하고 포괄적인 제재를 받고 있다”며 “모든 유엔 회원국들은 이런 안보리 제재 결의를 준수해야 하며, 그런 결의안을 채택한 당사자인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책임은 더욱 무겁다고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발언은 안보리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이면서도 기존 대북제재 이행에 장애물 역할을 하고, 추가 대북제재 결의를 가로막는 러시아와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분석된다.
동아시아정상회의에 참석했던 리창 중국 총리와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현장에서 윤 대통령의 발언을 들었다.
윤 대통령이 연이틀 러시아를 겨냥한 것은 북·러 무기 거래 논의가 한반도 안보상황을 뒤흔들 수 있는 위협요인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6일 한·아세안 정상회의 비공개회의에서 “국제사회의 평화를 해치는 북한과의 군사협력 시도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면서 러시아를 압박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동아시아정상회의에서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은 중대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자 세계평화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며 “오늘 회의에 참석하신 모든 국가를 겨냥하고 타격할 수 있는 실존적인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북한의 핵개발 의지보다 이를 저지하려는 국제사회의 결의가 훨씬 더 강력하다는 것을 우리가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면서 “핵·미사일 개발의 주요 자금원인 가상자산 탈취, 해외노동자 송출, 해상환적 등 북한의 불법 행위를 적극 차단해야 한다”고 재차 역설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북한 독재정권의 권력유지 수단으로 동원되고 있는 북한 주민의 참혹한 인권 실상에 눈을 감아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아시아정상회의는 역내 주요 안보현안을 논의하는 협력체로, 아세안 회원 10개국과 한국·미국·일본·중국·러시아·인도·호주·뉴질랜드 등이 속해 있다.
자카르타=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