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공무원들에게 애플 아이폰 등 외국계 브랜드 제품을 업무용 휴대전화로 쓰지 말라고 명령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 기관 소속 공무원들은 최근 상부로부터 이같은 지침을 받았다. 이 명령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하달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일부 중앙 정부 기관의 직원들에게 전달된 것이 확인됐다.
중국은 사이버 보안을 명분으로 자국민의 인터넷 사용을 통제하고 있다. 특정 사이트 접속을 차단·제한하거나 SNS를 검열하는 방식이다.
미·중 무역전쟁이 기술 전쟁 양상을 띠면서 중국은 그간 핵심기술 자립을 추진해왔다. 중국 정부는 외국 기술 의존도를 낮추고 국가 안보를 강화하겠다며 최근 자국에서 활동하는 외국계 기업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 시작했는데, 이번 조치 역시 그 일환으로 풀이된다.
애플을 비롯해 중국 사업 비중이 큰 스마트폰 기업들에 큰 타격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시장에서 발생하는 애플 매출액은 전체 약 19%에 달한다.
중국은 최근 몇 년간 일부 기관의 공무원들이 업무용으로 아이폰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해 왔는데, 그 범위가 대폭 확대된 것이라고 WSJ은 설명했다.
중국이 이같은 조치를 한 이유로 미국이 틱톡과 화웨이 등 중국 정보기술(IT) 기업을 규제하고 나선 점도 꼽힌다. 미국 정부는 2019년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를 제재 대상에 올린 데 이어 최근에는 중국의 영상 플랫폼 틱톡에 대한 제재도 강화하고 있다.
텍사스주는 지난 2월 정부가 배포한 전자기기와 공적인 인터넷망에서 틱톡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