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과 관련해 한국이 지난 3월 해법을 내놓은 뒤로 양국 사이에 대화와 협력이 활발해졌다고 5일 평가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일본과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여러 과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야 할 중요한 이웃 나라”라면서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의 조치를 매우 엄중한 상태에 있던 한일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 정부는 현재의 긍정적인 흐름을 한층 가속해 한일 관계를 더 발전시키기 위해 한국 측과 계속해서 긴밀히 의사소통해 가겠다”고 덧붙였다.
마쓰노 장관은 강제징용 피해자 일부가 한국 정부의 해결책을 받아들이지 않아 일본 기업의 자산이 현금화될 우려가 있다는 질문에 대해서 “한국 정부는 앞으로도 원고의 이해를 얻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 정부는 대법원이 확정 판결한 일본 전범 기업의 강제 징용 배상 확정판결과 관련해 일본 기업 대신 제3자인 ‘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배상하는 제3자 변제안을 발표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도 제3자 변제에 따라 발생하는 구상권을 일본 피고 기업에 청구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